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스페셜
"
식물
"(으)로 총 52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멘델의 유전법칙과 재발견
2020.11.26
있었다. 우선 멘델이 학계의 주류에서 벗어난 아웃사이더였다. 사람들이 수도원 ‘
식물
덕후’의 결과에 그리 큰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고 해서 그리 이상하지는 않은 일이다. 오히려 학계 사람들의 관심은 온통 진화론에 쏠려 있었다. 멘델이 자신의 결과를 발표한 1865년은 《종의 기원》이 나온 지 ... ...
깨져도 스스로 복구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균열이나 손상된 기능을 어떤 환경에서도 쉽고 빠르게 능동적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식물
의 일종인 아마 씨에 추출한 ‘아마인유’를 활용해 자가 치유 투명 폴리이미드를 개발했다. 아마인유는 상온에서 쉽게 경화되는 특성이 있어 그림을 보존하기 위한 코팅 물질로도 활용된다. 연구진은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0]"통신사·금융사도 나섰다…일본은 우주에 투자 중"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공급하기 위해 40여 개 기업이 공동으로 개발 중인 ‘스페이스 푸드스피어’의 경우
식물
생산과 재처리, 환경, 생태계 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기술을 개발해 식량문제 해결을 도모하고 있다”며 “우주에 투자하면 이렇게 지구의 사회경제적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일본은 ... ...
인류 ISS 입성 20주년…무중력 실험 가능한 천상의 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3
제공해줬다. 미세 중력에서 성장하는
식물
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인류의 우주탐사에 어떤
식물
이 도움이 될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우주에서의 신체 변화를 살피기 위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340일간 머문 미국 우주인 스콧 켈리(왼쪽). 미국의 우주인 스콧 캘리와 그의 일란성 쌍둥이 마크 캘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색도 19%만 비스펙트럼 색으로 본다. 그나마
식물
색에서 비스펙트럼 색 비율이 높은 건
식물
에만 존재하는 색소인 안토시아닌 덕분에 자주색 계열이 흔하기 때문이다. 단풍이 곱게 든 단풍나무의 잎처럼. 결국 벌새는 가을 단풍의 풍경을 우리는 결코 상상할 수 없는 훨씬 다채로운 색의 조합으로 ... ...
할미꽃 개화 기간 점점 짧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기온과 강우량에 따른 초본
식물
의 개화 시기 변화. 기온 상승은 개화 시기를 앞당기고 봄철 강수량 감소는 개화 종료 시기를 더욱 앞당긴다. 이 ... 연구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해 기온이 상승하고 강우량이 감소하면 봄철 초본
식물
의 전반적인 개화 지속 시기가 단축될 거라고 분석했다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발명에 초점을 맞췄다는 평이다. 그 외에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인간이나 동물,
식물
세포 등 진핵생물에 적용해 실질적인 치료와 농작물 개량에 응용할 길을 연 장펑 미국 브로드연구소 교수와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선임연구위원도 수상에서 제외돼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기술은 생명과학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특정한 형질을 가진
식물
이 나왔고,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유전자 암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다. 아래는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가 발표한 세 사람의 업적 보도자료를 요약한 내용이다. ● 박테리아 연구에서 ... ...
'편집이냐 교정이냐'부터 ‘디자이너 베이비’까지…말 많은 유전자 가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유전자가위 기술이 본격 등장하기 전부터 전통적인 육종이나 외래 유전자를 다른 동
식물
에 주입하는 방식의 유전자조작이라는 용어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유전자를 조작한다는 개념 자체가 생명체를 조작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어 윤리적으로 적당하지 않다는 주장이 이어졌고 유전자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이후 미국 MIT와 하버드대가 공동 설립한 브로드연구소 재직 시절 미생물이 아닌 동물과
식물
등을 포함하는 모든 생물군인 진핵생물에 적용할 수 있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개발했다. 김 교수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는다. 유전자 가위 벤처 툴젠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