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명
저명
우수
촉망
가망성
흘림그물
전망
스페셜
"
유망
"(으)로 총 23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신기술 개발 기업 지원제도의 특징
KOITA
l
2013.04.30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술개발 중이거나 창업초기에 있는
유망
기업을 발굴하고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요구된다. 또 연구개발투자 중소기업 경우는 확인기준을 살펴보면 중소기업 특별법에 의하나 연구개발투자 중소기업으로 확인받기 위해서는 당해 기업의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두뇌개발 소프트웨어 열풍이 부는 것만 보더라도 뇌 연구와 전자정보기술과의 융합이 꽤
유망
하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서 단장은 “두뇌개발 게임이 실제 뇌발달에 도움이 있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면서 “뇌를 제대로 알게 되면 이론적으로 검증된 두뇌개발 게임이 출연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기술 개발 박 단장은 상용화에 있어 나노기술은 많은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핵심
유망
기술(Key enabling technology)이라고 소개했다. 당장 어디에 쓰일지 모르고 개발했더라도 나중에 보면 여기저기에 쓰이고 있다는 것이다. “원천기술이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원천’은 산꼭대기에서 몽글몽글 ... ...
초고령화시대에서 新시장 찾다…“ICT·BT 융합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13.04.08
따르면 세계경제포럼 산하 ‘생명공학 글로벌아젠다위원회’가 발표한 10대 바이오
유망
기술 중 4개(▽재생의학 ▽신속 정확 제약 및 백신 개발과 생산 ▽질병진단 예측 시스템 ▽게놈 서열통한 선진화된 의료서비스)가 보건건강과 관련된 기술이다. 이 기술들은 바이오와 ICT를 베이스로 성장하면 ... ...
“단기 성과만 봐서는 바이오산업 성장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26
제정해 종자에 대한 제도 기반을 만들었다. 또 ‘Golden seed 프로젝트’를 통해 수출용
유망
종자 개발에 힘쓰고 있다. 박 국장은 “종자 산업은 국가가 전략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며 “부가가치가 높은 종자가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중점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단기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NEBS 회원 중에는 한국에 정착하려는 학자들이 많습니다. 한국 BT 발전에 기여할
유망
주로 여기고 지원 정책이 마련됐으면 합니다.” 박 회장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박사후연구원으로 해외에 나가려는 사람이나 해외에서 활동 중인 자국 출신 연구자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 다수 운영되고 있다. ... ...
“연구성과 따른 장려금제도 등 재미과학자도 정부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15
단체로 회원은 500여 명이다. 대부분 30대 박사후연구원으로 한국 생명과학을 이끌어갈 ‘
유망
주’가 많다. 하버드대 의대 소속인 박 회장은 지난해 비만과 당뇨의 연관성에 대한 2편의 논문을 ‘네이처 메디신’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잇따라 게재했다. 학술발표에 나선 계 박사도 ... ...
“제네릭 약가 보상 인하로 국내 업계 간 M&A 유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0.12.14
있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연계해 특허와 마케팅 관련 지원을 하고, 해외의
유망
한 바이오 벤처기업을 M&A할 때도 자금을 융자한다는 방안이다. ● “U-헬스 시대 대비해야” 박 국장은 한국의 우수한 의료 서비스를 활용하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분야로 ‘U-헬스’를 꼽았다. ... ...
“제약경쟁력 키우려면 범부처 협력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0.11.23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임 단장은 ‘범부처 사업단’의 역할로 “국내에서 진행 중인
유망
바이오의약품 개발 연구를 관리하는 일”을 꼽았다. “국내에서 임상실험까지 다 하기에는 사실상 무리에요. 정부가 좋은 후보물질을 관리하면 다국적 제약회사와 훨씬 좋은 조건에 협상할 수 있습니다. ... ...
“미래혁명 BT세상에서 터질 것… IT도움 절실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6.07
법이나 보험체계가 아직 부족한 만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서 회장은 “
유망
한 산업체와 정부 간에 징검다리를 놓는 게 협회의 역할”이라며 “다가올 바이오 혁명에 기업이 올바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적극 도울 것”이라고 향후 계획을 설명했다. 서정선 협회장의 ‘이것만은 꼭!’ ... ...
이전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