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명
저명
우수
촉망
가망성
흘림그물
전망
스페셜
"
유망
"(으)로 총 236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활용 센터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13.05.10
분석․활용 센터를 구축한다. 최근 빅데이터는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신규 성장
유망
분야로 주목받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글로벌 기업에 비하여 기술격차가 존재하고(2∼5년), 공공·민간에서는 아이디어 및 데이터는 있으나 빅데이터 분석 환경 및 활용 경험이 부재하여 서비스 도입에 어려움을 ... ...
해양바이오에너지의 신세계에 도전하다
KIMST
l
2013.05.03
것이냐는 질문은 미래가 아닌 현실이 되어 버 린 것이다. 현재까지 나온 해답 중에 가장
유망
한 바이오매스(biomass)는 조류(algae)를 이용한 방법이다. 미세조류 유래 오일 생산의 장점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가장 주목받고 있는 대체에너지 원으로는 단연 조류(藻類, algae ... ...
미래부, 콘텐츠의 창조경제 핵심산업화 위한 힘찬 걸음 내딛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5.02
미래창조과학부는 이 포럼에서 개진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콘텐츠 산업의 신
유망
분야를 발굴하고, 세계시장 콘텐츠 산업을 선도할 정책 개발에 진력할예정이다. ‘손톱 밑 가시 해소’ 등 업계 의견은 ‘관리과제’로 지정, 가시적 성과도출에 노력하고 그 결과를 업계에 피드백하는 ... ...
우리나라 신기술 개발 기업 지원제도의 특징
KOITA
l
2013.04.30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술개발 중이거나 창업초기에 있는
유망
기업을 발굴하고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요구된다. 또 연구개발투자 중소기업 경우는 확인기준을 살펴보면 중소기업 특별법에 의하나 연구개발투자 중소기업으로 확인받기 위해서는 당해 기업의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두뇌개발 소프트웨어 열풍이 부는 것만 보더라도 뇌 연구와 전자정보기술과의 융합이 꽤
유망
하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서 단장은 “두뇌개발 게임이 실제 뇌발달에 도움이 있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면서 “뇌를 제대로 알게 되면 이론적으로 검증된 두뇌개발 게임이 출연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기술 개발 박 단장은 상용화에 있어 나노기술은 많은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핵심
유망
기술(Key enabling technology)이라고 소개했다. 당장 어디에 쓰일지 모르고 개발했더라도 나중에 보면 여기저기에 쓰이고 있다는 것이다. “원천기술이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원천’은 산꼭대기에서 몽글몽글 ... ...
초고령화시대에서 新시장 찾다…“ICT·BT 융합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13.04.08
따르면 세계경제포럼 산하 ‘생명공학 글로벌아젠다위원회’가 발표한 10대 바이오
유망
기술 중 4개(▽재생의학 ▽신속 정확 제약 및 백신 개발과 생산 ▽질병진단 예측 시스템 ▽게놈 서열통한 선진화된 의료서비스)가 보건건강과 관련된 기술이다. 이 기술들은 바이오와 ICT를 베이스로 성장하면 ... ...
“단기 성과만 봐서는 바이오산업 성장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26
제정해 종자에 대한 제도 기반을 만들었다. 또 ‘Golden seed 프로젝트’를 통해 수출용
유망
종자 개발에 힘쓰고 있다. 박 국장은 “종자 산업은 국가가 전략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며 “부가가치가 높은 종자가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중점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단기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NEBS 회원 중에는 한국에 정착하려는 학자들이 많습니다. 한국 BT 발전에 기여할
유망
주로 여기고 지원 정책이 마련됐으면 합니다.” 박 회장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박사후연구원으로 해외에 나가려는 사람이나 해외에서 활동 중인 자국 출신 연구자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 다수 운영되고 있다. ... ...
“연구성과 따른 장려금제도 등 재미과학자도 정부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15
단체로 회원은 500여 명이다. 대부분 30대 박사후연구원으로 한국 생명과학을 이끌어갈 ‘
유망
주’가 많다. 하버드대 의대 소속인 박 회장은 지난해 비만과 당뇨의 연관성에 대한 2편의 논문을 ‘네이처 메디신’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잇따라 게재했다. 학술발표에 나선 계 박사도 ... ...
이전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