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금주
이주
스페셜
"
이번주
"(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10년간 육상곤충 줄고 수상곤충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6
모기류 같은 담수 서식 곤충류의 수가 지난 10년간 오히려 11%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를
이번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676개 지역에 걸쳐 1만 종의 곤충을 관찰한 데이터를 전 세계에서 수집했다. 그런 다음 곤충 개체 수의 변화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곤충 개체수 분석과 관련해 현재까지 ... ...
[표지로 읽는 과학]폭우는 어떻게 킬라우에아 화산 분화를 유발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5
번질 때 내리는 비는 진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적어도 화산에서만큼은 아닌 모양이다.
이번주
네이처 표지는 시뻘건 용암이 새까만 화산 분화구에서 흘러 넘치는 생동감 있는 모습을 담았다. 팰크 아멜룽 미국 마이애미대 해양지질학과 교수 연구팀은 활화산에서 많은 비가 장기간 내리면 오히려 ... ...
생활방역 위해 '항체검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9 환자가 무증상 또는 경증 환자일 가능성도 제기돼 있다”고 전했다. 미국 뉴욕주는
이번주
부터 하루 수천 명 규모로 항체검사를 시작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앞서 미국 FDA는 코로나19와 관련한 긴급사용승인 검사시약 품목에 4개의 항체검사 시약을 포함시켰다. 이달 1일 미국 생명공학사 ... ...
정부, '생활방역 체계' 시설별 운영수칙 초안
이번주
공개(종합)
연합뉴스
l
2020.04.20
방역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방역' 체계에서 각 시설이 지켜야할 운영지침의 초안을 마련,
이번주
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운영이 재개되는 시설 유형과 시설별 운영재개 계획을 마련, 22일부터 순차적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텅빈 우주 아닌 이유’ 중성미자 관측에서 단서 찾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8
제공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거대한 원통 안에 물이 담긴 것 같은 일본의 중성미자 관측시설 ‘슈퍼 카미오칸데’의 내부 모습과 함께 ‘거울이 깨졌다(The Mirror Crack’d)’라는 말이 실렸다. 거울은 좌우만 반전됐을 뿐, 나머지 요소는 모두 똑같은 ‘대칭’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단 이르면 금주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20.04.16
12일 브리핑에서 "치료제·백신 개발 조기 성공을 돕기 위한 민관합동 범정부지원단을
이번주
부터 가동한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에 따르면 지원단은 한국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 상황을 점검하고 지원 대책을 수립하는 범정부 컨트롤타워 성격을 띤다. 지원단은 보건복지부, ... ...
[표지로 읽는 과학] 2차원 공간에서 기본입자 매개하는 입자의 움직임
동아사이언스
l
2020.04.12
둘로 나누는 간섭계로 쓰이는 ‘빔 스플리터’다. 오렌지색 입자는 ‘애니온’이다.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는 극소 입자 충돌기에서 자신의 색깔을 드러낸 애니온과 페르미온, 보손의 움직임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했다. 드미트리 펠드만 미국 브라운대학 브라운이론물리센터 교수는 극소 빔 ... ...
전 세계 코로나19 환자 120만명…국내 1만237명 서울·경기 중심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8000명 선을 넘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 "
이번주
와 다음주 사이가 가장 힘든 주가 될 것"이라며 "군 의료진 1000명이 코로나19 지원을 위해 뉴욕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뉴욕엔 해군 병원선 ‘컴포트호’가 배치돼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 바이러스 구조 밝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9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와 ACE 2의 최대 길이를 연구결과를
이번주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ACE2는 ‘이합체’ 구조를 가졌다. 이합체는 두 개의 분자가 결합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은 ‘삼합체’인 것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류구가 밝혀줄 태양계 형성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3.28
유성을 연상시킨다. 탄소가 풍부한 이른바 C형 소행성 ‘162173 류구’의 열화상 이미지다.
이번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소행성 류구의 열화상 이미지를 표지 전면에 실었다. 류구와 같은 C형 탄소질 소행성은 약 46억년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소행성을 구성하는 물질을 연구하면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