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성교
면밀한 솜씨
섹스
가훈
가정교훈
그리스정교
스페셜
"
정교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피해망상과 환각…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은?
2016.05.23
발달과정에서 뉴런 사이에 시냅스가 새로 생기거나 기존의 것이 사라지면서 뇌의 회로가
정교
하게 완성된다. 그런데 이 조율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될 경우 가지치기가 잘못돼 회로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는 말이다. 2014년 과학자들은 게놈을 분석해 조현병과 관련된 자리 10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분비하지 못한다. 그리고 핵이 세 개 또는 네 개인 세포는 존재하지 않아 이 과정이
정교
한 통제아래 일어남을 시사한다. 지난 2010년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간에 존재하는 다핵세포, 즉 핵이 두 개 이상인 세포에 대한 연구는 젖샘세포의 특이한 현상을 이해하는데 영감을 준다. 즉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몸돌에서 칼 역할을 할 수 있는 제대로 된 박편을 떼어내는데도 돌망치를 내려칠 때
정교
한 힘조절과 각도조절이 필요했다. 수많은 박편을 떼어내 만드는 손도끼는 더 말할 것도 없다. 이런 경험을 통해 인류의 진화는 도구제작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따라서 스타우트 교수는 호모 ... ...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게 이기려면…
과학동아
l
2016.02.26
인공지능의 경우 딥러닝 네트워크를 미세 조정해 고양이 같은 특정 사물을 더
정교
하게 구분하도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며 “알파고도 이 9단의 기보를 확보해 집중 분석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 성능을 높인다면 어느 정도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알파고와 중국 판후이 2단(오른쪽)의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고생물학자 더글라스 어윈에 따르면 데이비슨은 유전자 조절 네크워크를
정교
한 논리회로라고 믿었고 실제 성게에서 이중부정논리게이트를 발견하고는 무척 기뻐했다고 한다. 즉 ‘어떤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자’로 이루어진 네트워크가 있다는 말이다.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의학계의 계관시인 ‘올리버 색스’
2016.01.05
신경질환을 지닌 환자들을 등장시켜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일상의 삶이 뇌와 몸의
정교
한 조율의 결과임을 역설적으로 깨닫게 하는 이 책에서 색스는 신경질환을 ‘장애에 직면한 몸이 새로운 평형을 찾으려는 시도’로서 해석하고 있다. 2005년 어느 날 시야에 이상을 느낀 색스는 병원을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클수록 노화속도가 빠르다는 것. 잡아먹힐 가능성이 큰 쥐의 게놈에 생리반응을
정교
하게 조절하는 시스템을 갖춰봤자 1회용 컵에 금테를 두르는 셈이기 때문이다. 빨리 자라 한꺼번에 새끼를 많이 낳는 게 더 유리한 전략이다. 반면 코끼리처럼 새끼 때만 잘 넘기면 잡아먹힐 가능성이 거의 없는 ... ...
“한때 연구보조원” 터키 의사의 인생역전기
2015.10.08
잘못 짝지음) 복구(mismatch repair, MMR)라는 복구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DNA복제는 매우
정교
한 과정이지만 오류는 생겨나기 마련이고 그 확률은 10만 분의 5 정도다. 게놈이 작은 바이러스가 아닌 다음에야 너무 큰 수치다. 그래서 잘못 끼워진 염기를 고쳐주는 미스매치 복구 메커니즘이 진화했고 그 ... ...
핀테크 시대, 지문으로 결제하세요~
KISTI
l
2015.09.22
다른 패턴을 보일 때를 포착해 거래를 막는다. 거래 정보의 수집과 거래 패턴에 대한
정교
한 분석, 대량 데이터의 효과적인 관리, 전자 금융 거래 업무에 대한 정확한 이해 등이 바탕이 돼야 구축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페이팔에는 20개국에 500여 명의 정보유출방지 인력이 배치돼 있으며, 보안관련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이루는 뼈의 구조가 현생인류와 가까워 물건을 쥐거나 도구는 만들 때 필요한 힘과
정교
함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또 턱과 이빨이 작아져 씹는 힘은 약해진 것으로 보인다. 역시 호모속의 특징이다. 그럼에도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의 특징 역시 꽤 지니고 있다. 먼저 키에 비해 뇌용량이 작아 46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