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e10"(으)로 총 2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픔을 피하지 않는 사람이 더 행복한 이유2016.12.20
- 흔히들 부정적 감정은 가급적 덜 느끼고 긍정적 감정은 자주 느끼는 것이 행복에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게 다일까? GIB 제공 ● 감정을 구분하기(emotion differentiation) 최근 심리과학지(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에 실린 한 리뷰논문에 의하면, 즐거움, 행복 등의 긍정적인 감정 ... ...
- 밥보다 더 많이 찾는 커피에 대한 오해와 진실2016.10.21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섭취빈도 1위 식품은 커피였다. 배추김치(10.8회), 잡곡밥(8.9회), 쌀밥(6.5회)보다 더 잦은 일주일에 12잔 정도다. 밥보다 더 많이 찾고 있는 커피의 소비량은 해가 갈수록 증 ... ...
- ‘이 또한 지나가리’ 스트레스 이기는데 효과적일까2016.08.23
- 스트레스로 힘겨울 때 흔히들 하는 말이 있다. “이 또한 지나가리”. 또는 조금 멀리 떨어져서 큰 그림을 보면 이런 힘든 일이 있어야만 했던 의미를 알 수 있다던가, 다른 일들에 비하면 별 일 아니었음을 깨달을 수 있다고도 한다. 이렇게 ‘관점’을 조금 이동함으로써 힘든 일의 의미 자체를 재 ...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동아사이언스 l2016.08.01
- 생명과학자들이 선망하는 최상위권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는 8월호에 나무블록을 룰렛(원반형 도박게임) 형태로 쌓아 올린 그림을 표지에 올릴 예정이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팀이 쓴 논문에 들어 있던 작은 원 그래프를 화려한 느낌이 나도록 바꾸어 그린 ... ...
-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2016.07.19
- ●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우선 대답은 ‘그렇다’이다. 하지만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수십년간의 걸친 연구들에 의하면 돈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약 10% 정도로 행복을 ‘전부’ 살 만큼은 아니라는 것, 가진 액수자체보다 중요한 것은 돈을 ‘어떻게 쓰느냐’라는 것이다(Diener et al., 1999; ... ...
- 영덕엔 대게, 부산 기장엔 미역!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04
- 예로부터 가을은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이라 해서 높고, 푸른 하늘을 가을의 상징으로 여겼다. 그런데 최근에는 가을의 푸른 하늘을 보기가 쉽지 않다. 바로 미세먼지 때문이다. 중국에서 넘어오는 오염물질과 우리나라의 이상 고온 현상으로 인한 도심 대기가스의 결합으로 열흘 넘게 뿌 ... ...
- 2030년에 미니 빙하기가 온다고? KISTI l2015.10.20
- “연주회장이 아무리 넓어도 끝없이 퍼져나가는 천상의 아름다운 소리를 지니고 있다.” 미국의 거장 바이올리니스트 아이작 스턴이 바이올린 중 가장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스트라디바리우스를 두고 한 말이다. 바이올린 소리는 현에서 나온 음파가 몸체에서 얼마나 아름다운 공명을 만들어내 ... ...
- “한때 연구보조원” 터키 의사의 인생역전기2015.10.08
- 환원주의 없이 복잡성을 사랑하면 예술을 만들어내고, 환원주의자가 복잡성을 사랑하면 과학을 만들어낸다. - E. O. 윌슨 매사를 분석적, 환원적으로 보는 태도가 현대과학문명의 병폐라는 말들을 하지만, 환원주의가 과학발전의 필요조건임은 부정하기 어려운 것 같다. 물론 만물을 환원해 모든 ... ...
-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 미국 인공광합성 연구의 최전선을 가다2015.10.01
- 미국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JCAP)는 세계적 인공광합성 연구센터다. JCAP의 양대 센터 중 하나인 ‘버클리 랩(Berkeley Lab)’의 부서장 프랜시스 울 박사와의 e메일 인터뷰를 통해 인공광합성 연구의 최신 흐름을 들어봤다. 미국의 인공광합성 연구는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Joint Center for Artificial ... ...
- 봉한선과 림프선2015.08.03
- 필자는 과학에세이를 써서 먹고 살지만, 몸이 아프면 ‘의학’에 가까운 양의원보다 ‘의술’에 가까운(물론 필자 개인의견이다) 한의원을 먼저 찾는다. 침을 맞거나 뜸을 뜨거나 약을 지어 먹는 게 어떻게 병을 고치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효과가 있는 것 같기 때문이다. 반면 아무리 병의 메커 ... ...
이전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