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5,355건 검색되었습니다.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12
비틀거리며 움직이는 현상. 2만 5800년에 한 번씩 제자리로 돌아온다.안상현 연구원 >
서울
대 대학원에서 천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초기 은하의 형성과정뿐 아니라 역사 속의 별똥비, 혜성, 일식 등을 연구해왔다. 저서로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별자리’ ‘한국사탐험대4 과학편’이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12
여m로 추정되지만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폭탄의 수백 배에 해당하는 폭발을 일으키며
서울
넓이의 10배가 넘는 영역에 걸쳐 삼림을 쓰러뜨리고 태워버렸다.소행성 충돌은 총알 속도의 수십 배에 이르는 엄청난 속도로 일어나기 때문에 작은 크기라도 어마어마한 피해를 일으킨다. 소행성 지름이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12
막을 수 있다. 2차원 하천 해석 프로그램, 램스 위 상황은 가상이다. 하지만 서일원
서울
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하루빨리 수질예보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교수가 팔당호에서 직접 시뮬레이션한 결과에 따르면 페놀이 유입됐을 때 자연적으로 페놀이 빠져나가는 데는 꼬박 ... ...
이공계 희망 쏘는 과학영재의 명문
과학동아
l
200812
10월 말 영재학교 전환 신청서를 냈다. 영재학교는 2003년 설립된 부산에 이어 지난 4월
서울
과학고가 확정됐으며 올해 1~2곳이 추가 지정될 예정이다. 광주과학고는 2010년 광주과기원에 학사과정이 신설됨에 따라 유리한 조건을 갖췄다는 판단이다. 11월 한달 동안 심사과정을 걸쳐 12월 중 전환 대상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12
인지적 처리가 작동하는 판단을 할 때는 DLPFC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재진 교수 >
서울
대 의대를 졸업한 뒤 1991년 정신과 전문의가 됐다. 2002년 연세대 의대 교수로 부임해 현재 영동세브란스병원 정신과 과장과 연세대 의대 의학행동과학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뇌영상 기술과 가상현실 ... ...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12
특성화정책을잘펼치고 있는 대학으로 유명하다. 아산재단과 협력해 의대를 특성화하며
서울
아산병원과 연계하고 있으며, 현대중공업의 지원을 받아 조선해양공학부에 일류화사업단을 3년째 운영하고 있다.올해부터는 KCC 지원을 받아 생명화학공학부가 일류화사업단을 시작했다. 지난 5월 협약을 ... ...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12
때문에 수술과 같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시력을 되찾을 수 있다. 강석훈 전문의 >
서울
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6년부터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꿈이었던 영화와 드라마 시나리오를 쓰는 작가이기도 하다. 지난해 방송된 SBS 의학드라마 ‘외과의사 봉달희’의 보조작가로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12
그가 가방에서 꺼낸 카메라는 작고 평범한 구식 필름카메라다. 니콘 FM2. 1990년대 초
서울
역에서 대구행 기차를 기다리며 남는 시간에 카메라 가게를 둘러보다 옆에 있던 손님의 추천으로 ‘충동구매’ 했다고. 중고였지만 당시로선 거금인 35만원을 들였다. “수동이라 장시간 노출시킬 수 있어 ... ...
[물리]빛이 꺾이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12
서울
대 물리교육과를 졸업하고 현재 메가스터디에서 물리와 과학 논·구술 수업을 하고 있다. 개념을 정확하고 깊이있게 이해하는 능력과 다수 개념을 통합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과학 학습에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한다. 빛이 꺾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스넬의 법칙을 통해 빛의 굴절을 ... ...
지적 재산의 보호와 공유
과학동아
l
200812
것이다. 특허청에 따르면 올해 1학기 학부 과정에 특허 관련 교과목을 개설한 대학은
서울
대, 고려대, 연세대를 비롯해 모두 24곳. 지난해 1학기(14곳)에 비해 71.4%나 증가했다. 대학들이 이처럼 앞 다퉈 특허 교과목을 개설하는 이유는 기업들이 당장 현장에서 특허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