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준결정에 속하는 금속 합금의 종류는 점점 많아졌다. 새로운 준결정이 계속 발견되며
결국
결정학 교과서를 새로 써야 했다. 준결정 연구는 여전히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국제준결정학회 같은 대규모 국제학회도 꾸준히 열리고 있다. 새로운 준결정 구조를 발견하는 것은 아마 끝이 없을 것이다. ... ...
제5대 국새 모습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만든 전통기법으로 4대 국새를 만들겠다는 사람이 나타났지만 이 말은 거짓이었다.
결국
제작책 임자의 사기사건으로 4대 국새는 폐기됐다. 다시 3대 국새를 보수해 쓰고 있다가 이번에 5대 국새를 만든 것이다.“그러니까 원래는 이렇게 생긴 거군요.”4조각을 연결해 붙였다. 가로, 세로, 높이 모두 ... ...
‘심장질환 유전자’ 예방하는 초록 샐러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채소와 과일 속 성분이 9p21유전자가 발현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결국
유전적으로 병에 취약한 사람이라도 올바른 식습관으로 건강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는 얘기다.언저트 교수는 “어떠한 질환을 유발하는 요인을 유전적으로 지녔더라도 환경이 중요하기 때문에 꼭 그 병에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찾아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런 동작들이 가장 정확한 때 이뤄지도록 다듬어야 합니다.
결국
달리는 로봇을 만드는 건 ‘이런 순서로, 이 정도의 힘을 주어, 이 정도 시간에 움직인다’는 동작알고리듬을 지겹도록 수정해 나가는 과정입니다.리듬과 타이밍 맞춘 알고리듬아시모나 파트너를 만든 건 ... ...
PART 1. F1에 도전장을 내다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조직위원회 직원이 경기장에 대해 쉼 없이 설명하는데도 귀에 들어오지 않았다.
결국
경기 전략 회의에 들어가서 혼쭐이 난 뒤에 알게 됐다.1차 전략 회의에선 F1 우승의 중요 변수 중 하나인 경기장에 대해 분석하고 구간별로 어떤 전략을 세울지에 대해 논의했다. 수학동아팀답게 수학문제를 풀 때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생긴다. 즉 자신이 자백하지 않았는데 상대방이 자백할 경우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
결국
상대방이 자백할 것이라는 가정에서(상대방을 배신해서) 둘다 자백하는 것이 현실적인 선택이 된다. 이런 선택이‘내시 균형’상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 연구, 재미있거나 의미 있거나PART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1] 유리수는 모두 순환소수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유리수는 분자와 분모가 정수인 분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를 뜻합니다.유리수에는 자연수와 정수는 물론이고, 소수점 아래 몇 번째 자리에서 끝나는 유한소수도 포 ... 숫자도 반복되는 겁니다. 따라서 유리수를 소수로 나타내면 순환마디가 아무리 길더라도
결국
은 순환소수가 됩니다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없다.아이디어의 기원우주선을 타고 블랙홀에 다가가면 중력에 의해 속도가 점점 빨라져
결국
빛의 속도에 가까워진다. 이때 블랙홀에 다가갈수록 바깥으로 나가는 빛의 속도가 느려진다. 블랙홀에 떨어지는 우주선은 아주 빠르게 블랙홀에 떨어진다고 여긴다. 하지만 먼 곳에서 보면 우주선이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달라지므로 비록 내부 물질은 운석과 동일할지라도 운석과 직접 비교를 할 수 없다.
결국
운석의 소행성 기원론은 심증만 있을 뿐 물증이 없었던 것이다.그런데 하야부사가 S-형 소행성인 이토카와에서 가져온 1500개의 암석입자를 분석한 결과 O-콘드라이트 운석이 S-형 소행성에서 나왔다는 사실이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름이 바로 여기서 나왔다. 사람들은 이 바이러스로 천연두를 예방했을 뿐 아니라
결국
가장 무서운 질병 중 하나였던 천연두를 종결시켰다. 필자는 이 바이러스가 인류를 암의 고통에서도 벗어나게 해 줄 도구라고 생각하고 있다. 백시니아 바이러스는 숙주의 증식 속도에 맞춰 자란다.암세포는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