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3,425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람개비와 앵무새 종이공작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균형 잡는 앵무새■ 왜 그럴까?!앵무새가 긴 꼬리를 아래로 늘어뜨리면서 작은 발로
나무
위에 앉아있을 수 있는 이유는 균형의 미학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앵무새의 무게중심은 긴 꼬리 덕분에 몸통과 꼬리의 중간쯤에, 그리고 발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따라서 발부분을 받쳐주면 앵무새의 ... ...
경상도 지층 속 공룡의 자취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화암이라는 해변으로 향했다. 차에서 내려 화암 해변으로 걸어가는데 해변에 커다란
나무
들을 쌓아놓은 듯한 것들이 눈에 들어왔다. 그때 옆에 있던 한 선생님이 “주상절리구나”하고 말했다.주상절리는 암석이 육각형이나 삼각형과 같은 모양으로 갈라진 것으로, 이는 용암이 갑자기 냉각될 때 ... ...
가을 저녁 펼쳐지는 달과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깜찍하게 빛나는 모습을 감상해보자.‘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계수
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 어린 시절 누구나 한번쯤 불렀을 법한 동요 ‘반달’의 가사다. 한가위를 1주일 정도 앞둔 가을 저녁 이 노래가사처럼 은하수에는 하얀 쪽배 같은 반달이 뜬다. 물론 은하수의 모습은 달빛에 ... ...
첨단 동의보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백년 전 서구의 손길이 우리나라에 미쳤을 때, 그들이 가져간 것은 구상
나무
를 비롯한 자생식물들이었다. 왜일까. 1992년 체결된 생물다양성협약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 식물은 소중한 자원이다. 최근 동의보감를 남긴 우리조상의 지혜처럼 자생식물을 활용해 삶의 질을 높이는 연구가 한창 ... ...
1. 한반도에 숨겨진 희귀약초 캐낸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자생식물이라 할 수 있다. 뒷산에 핀 작은 풀에서 이름모를 야생화, 그리고 아름드리
나무
까지 모두 자생식물이다.시야를 넓혀 한반도의 자생식물을 살펴보자.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길쭉한 모양의 한반도는 무려 70%가 산지다. 그 속에 무려 4천여종이 넘는 다양한 자생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가까운 ... ...
3. 황금꽃으로 다시 피어나는 야생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이룰 수는 없다. 오늘날의 팬지나 피튜니아도 2백년이라는 세월이 소요됐고, 야생 털개회
나무
로부터 미스킴 라일락이 만들어지기까지 반세기의 세월이 필요했다. 세계적인 명품 우리꽃이 탄생하기까지 조금만 시간을 두고 기다려 보자 ... ...
X선 구조분석학 미시 세계 영화처럼 보여주는 투시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바륨에 도달해 만들어낸 것이었다. 뢴트겐은 자신이 발견한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이 종이,
나무
, 알루미늄 등을 쉽게 통과해 사진 건판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와 같은 기묘한 성질 때문에 그는 이 빛에 정체 불명이라는 뜻을 가진‘X’라는 이름을 붙였다.X선의 발견은 뢴트겐에게 ... ...
인라인 스케이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여름에 아이스 스케이팅을 즐기고 싶어한 네덜란드 사람이
나무
조각에 실패를 박은 후 신발에 붙여서 신고 다녔던 것이 최초의 모형이다. 그 뒤 금속 바퀴가 부츠에 장착됐고, 한때 바퀴가 롤러 스케이트 구조로 배치되기도 했다. 또한 볼 베어링이 바퀴에 적용됐다.그러나 ... ...
예비 과학자들의 진로탐색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박상찬 교수가 중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터마이닝 기법에 대해 강의했다. 수업의 내용은
나무
막대기로 자동차를 만들어 여러가지 변인을 주고 속도를 체크하면서 가장 빠른 자동차를 만들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학생들은 자신들이 마치 대학생이 된 듯한 기분으로 진지하게 이 수업에 참여했다. 한 ... ...
도구 사용하는 까마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베티는 9번이나 갈고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칼레도니아 제도에 사는 까마귀들은
나무
나 돌 틈의 벌레를 잡기 위해 나뭇잎이나 가지 등 갈고리 모양의 도구를 이용하곤 한다. 그러나 철사처럼 처음 보는 물건을 재가공해 도구로 이용하는 것은 이번에 처음 발견됐다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