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집
주점
나이트클럽
호프
선술집
식당
salon
d라이브러리
"
바
"(으)로 총 3,113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같은 덩치의 에니악에서 이제는 그 정도의 능력을 한개의 마이크로 칩 하나로 줄인 손
바
닥만한 크기로 변화했다. 인류가 이룩한 거대한 진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초기 마법사와 같은 능력으로 보였던 컴퓨터프로그래밍 작업을 이제 뜨개질배우는 정도의 아주 저급한 기술로 전락시켜 ... ...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 g 섞여 있는 것도 가려낼 수 있을 만큼 높은 분석 능력을 갖고 있다.앞에 몇가지 예를 든
바
와 같이 측정기기들의 능력은 현재 높은 경지에 도달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멀지않은 장래에 측정의 한계인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에까지 도달하는 기기들이 출현하리라고 기대한다 ... ...
3. 재평가돼야 할 가로림만 입지조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해류는 비교적 일정방향의 흐름인데 반해 조류는 조석에 따라 흐르는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
뀌는 점이 다를 뿐이다. 대표적인 해류로는 대서양의 서쪽인 미국의 동부 해안을 흐르는 멕시코만류와 태평양의 서쪽을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가 있다.미국의 코리올리스계획(Coriolis Project)은 플로리다주 ... ...
21세기 우주수송수단은 어떤 모습?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우주장기계획 자문위원회가 보고서를 내고 새로운 우주수송수단의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차 단계로 올 상반기내에 '챌린저의 대역'으로 성능을 한단계 향상시킨 엔데버(Endeavor)를 제작완료하고 내년 초에 발사할 계획이다. 차세대 우주왕복선은 어떤 모습을 할지 자못 궁금하다 ... ...
해양계 탄소순환의 연결고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난다. 이는 19세기 이후 인류가 화석연료를 통해 생산해낸 탄소량과 비슷한 분량이다.
바
다가 이중 얼마를 흡수했는지는 아직 알수 없다.플랑크톤은 해양계 탄소순환의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아직 완전한 메커니즘이나 그 역할이 주역인지 조연인지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두번째는 MIT 학생들에 관한 것이다. MIT의 대표색깔-회색
바
탕의 암적색-은 콘크리트
바
닥에 흘린 코피에 비유된다. "MIT학생은 아마도 이 세상에서 가장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일 것입니다."어떤 업체에서 파견나와 있는 직원의 말이다.이때 나는 속으로 다음과 같이 반문했다. "이 친구, 한국의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무거운 방망이를 선호한 타자는 나무 방망이의 무게를 올리기 위해 방망이에 축음기
바
늘이나 큰 못을 박기도 했다(물론 지금은 이런 방망이는 허용하지 않고 있다). 반면 방망이 끝에 구멍을 파고 그곳에 대신 코르크를 넣은 경(輕)방망이파도 있었다.특히 1961년 리그 타격왕에 올랐던 놈 캐시(당시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재정난 등 이른
바
'3난'을 겪고 있는 부산시는 이의 타개책으로 89년 3월 부산 남항 앞
바
다를 매립해 삼각형 모양의 인공섬을 만든다는 구상을 발표했다.그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마련한 건설 기본계획을 보면 96년까지 1백88만 평을 해발 2.8~5m 높이로 매립하고 2001년까지 모든 시설을 완성시켜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기압분포와 경험에만 의존해 '서해 먼
바
다 파고 2~5m' 등 허술한 점이 많다. 만약
바
다 위에 무인관측기기를 여러 군데 설치해 놓고 이곳에서 측정된 정보를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예보를 할 수 있을 것이다.정부는 해양자원개발, 해양공간 이용 및 환경보전, 자연재해방지, 해양산업지원 등에 ... ...
만약 오줌이 저절로 나온다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마찬가지로 소변을 보려고 하지 않았는데도 소변이 흘러나오는 경우가 또 하나 있다.
바
로 야뇨증이다. 흔히 이 증상이 심한 어린이를 오줌싸개라고 하며 어린이들의 위신을 여지없이 손상시키는 골칫덩어리다. 어렸을 때 소변을 가리는 훈련은 보통 한살 반 정도 나이를 먹었을 때부터 시작하게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