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가득 들어찼다.] [세계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식 컴퓨터로, 이후 상업용 컴퓨터인 마크I로
발전
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지능 오딧세이Part 1. 튜링을 만나다Part 2. 생각하는 로봇Part 3. 튜링의 마지막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카오스 이론에 지배받는 날씨마저 예측할 수 있다. 그는 모든 것을 알기 때문이다.과학이
발전
하면서 라플라스의 악마는 점점 힘을 얻었다. 과거 원인을 알 수 없던 많은 것들의 원인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이대로 라플라스의 악마는 그를 불러낸 과학자의 바람처럼 이 세계를 결정론이 지배하는 ... ...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세상에 슈퍼컴퓨터가 좋다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런데 슈퍼컴퓨터를 쓰고자 엄두를 내는 사람도 없습니다.”김종원 고성능컴퓨팅 협업환경연구센터장 ... 수 있게 지원하고, 보다 친밀한 협업환경을 만들려는 김 교수와 연구원들의 노력이 과학
발전
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
구조역학이 만든 생생한 그래픽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나는 장면에서 옷의 펄럭임까지도 사실적으로 표현했기 때문이다. 그만큼 그래픽 기술이
발전
한 것. 실제와 유사한 그래픽을 만드는 데 기본이 되는 원리는 구조역학과 뉴튼의 운동법칙이다. 드림웍스가 도입한 3D 시뮬레이션 기술 ‘퀄로스(Qualoth)’의 원리를 알아보자.퀄로스는?서울대 전기공학부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것을 항상 학생들이 읽고 일주일에 두 번 세미나를 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연구를 더
발전
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도록 한다.또 한 가지 강조하는 것은 바로 “다른 사람이 좋아하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라”는 것이다. 여러 분야에서 많이 쓰이는 연구인만큼 여러 분야의 사람들과 함께 모여서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생각보다 수학자들이 ‘탁구’에 관심이 많구나~!나도 수학과 과학이 없었으면 탁구의
발전
이 더뎠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들었어.특별히 탁구에 입문하는 친구들을 위해 내가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를 설명해 줄게! 하나 탁구라켓은 공의 0°~90° 사이를 공략하라!탁구는 탁구라켓의 각도에 ... ...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여겼다. 그러다가 점점 숫자 13과 관련된 것이 있으면 일부러 기피하는 현상으로
발전
했다. 이러한 경향은 ‘13 공포증’이라는 말이 붙을 정도로 강하게 나타났다. 건물의 층이나 프로 운동 선수들의 등번호로도 13은 기피대상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 미국에서는 13일과 관련한 결근과 예약 취소가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안 일어나면 얼마나 좋겠어?범죄 예보 시스템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이 시스템이 좀 더
발전
하면 미래에는 정말 범죄를 미리 막을 수 있을지도 모르죠.범죄 발생 확률이 높은 핫스팟을 찾아라! 범죄 예보 시스템영화 는 2054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다. 이 영화에는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계산일 뿐이다. 적어도 실제 거주 공간의 5배 이상이 필요하다.
발전
소, 생명유지장치 등 유틸리티 공간이 별도로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 육상과 해저를 연결하는 터미널과 잠수함 정박지 등을 고려하면 더욱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이제 해저 도시가 완성됐다. 해저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두 개의 인공태양이 뜰까영국,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 7개국은 실험용 레이저 핵융합
발전
시설인 ‘하이퍼(HiPER)’의 건설을 제안했다. 하이퍼는 고속 점화를 기본으로 실험뿐만 아니라 에너지 생산까지 목표로 두고 있다. 프랑스는 별도로 7조 원의 예산을 투입해 ‘레이저 메가줄’이라는 핵융합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