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d라이브러리
"
숫자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루토늄 확보계획은 시대 착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규형을 이루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 수치는 다분히 결론에 따라 짜맞춘
숫자
놀음이란 인상이 짙다.이 발표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로 앞으로 플루토늄을 가장 많이 소비할 고속증식로의 실용화가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고속증식로의 원형로인 몬주(후쿠이현 소재)가 올해부터 가동에 ... ...
소행성, 지구와 충돌 가능성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접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거리는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반. 이 소행성은 1991BA(앞의
숫자
는 발견 연도)라 명명됐다.원래 소행성은 토성과 목성 궤도사이에서 집단으로 태양을 돌고 있는 집단. 이 지점을 소행성띠라고 부른다. 행성이 되려다 실패한 태양계의 미숙아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92년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택시의 번호가 1729로 별로 특징이 없는 수라고 하자, 라마누잔이 바로 답했다는 그
숫자
다.독일 출신 여류 수학자 에미 노에터(Emmy Noether, 1882~1935)작고한 여류 수학자 가운데 가장 최근까지 활동하였으며 또 가장 두드러진 업적을 가진 이가 바로 에미 노에터이다. 노에터는 독일 남부에서 1882년 3월 2 ... ...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세월이 흐름에 따라 세포면역을 주도했던 CD-4림프구가 차츰 파괴돼 줄어들고, 반대로 HIV
숫자
는 점차로 증가된다. 이는 곧 면역기능의 상실을 뜻한다. 그 결과로 기회감염과 악성종양 등이 생기게 되는데 이 마지막 단계를 AIDS라 부르고 있다.다른 여러 질병에서와 마찬가지로 AIDS의 경우에도 질병의 ... ...
3차원 전자학술지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활용돼 왔다. 그러나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에 한계를 보여(1초당 2백만비트) 많은 문자와
숫자
들을 통신하고자 할 때 어려움이 따랐다. 이것이 슈퍼자넷의 탄생배경.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통신을 하게 될 슈퍼자넷은 매초마다 1억4천만비트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데 장차 1초당 10억비트까지 ... ...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만들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현재 미국과 러시아가 보유하고 있는 핵무기에 버금가는
숫자
다. 우리가 그토록 우려했던 북한의 플루토늄 생산량이 95년까지 50㎏ 정도였으니 일본과도 벌써 단위부터 다르다.더구나 일본은 세계가 인정하는 전자왕국이다. 엄청난 핵잠재력에 첨단 마이크로전자기술을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개정되기도브레이어호가 쏟아놓은 8만5천t이라는 기름의 양이 도대체 어느 정도인지
숫자
만으로는 잘 실감이 나지 않는다. 10t을 적재하는 유조차에 싣는다면 8천5백대분, 만약 가정용 맥주병에 담는다면 약 2억병이 넘는 양이다. 브레이어호사고의 유출량은 역대 발생한 대형유조선 유출사고중 ... ...
3.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대부분은 HYPERDKX를 사용하면 된다.DEVICE=C : \ HYPER \ HYPERDKX. EXE C : 1024 CW : 512C : 뒤의
숫자
는 도스에서의 캐시 크기이고 CW : 뒤에는 윈도우즈에서 사용할 캐시 크기를 지정해 주는 것이다. 이외에도 하이퍼 캐시가 설치되었을 때 나타나는 메세지를 생략하는 OR, 쓰기캐시인 스테이지 라이트 ...
1 586 칩 펜티엄 출현예고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10월 발표했다. 인텔이 586 칩의 명칭을 이제까지와 달리 펜티엄으로 정한 것은 386 486 등의
숫자
는 모방을 하기가 쉽다는 점을 들어 경쟁업체들이 모방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인텔이 경쟁업체들의 추격을 따돌리고 기술력을 과시한다는 전략 아래 야심작으로 개발하고 있는 ... ...
카메라 렌즈 통해 조물주의 오묘한 섭리 느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산길에서 눈에 띄는 꽃들이 자꾸 카메라 셔텨를 누르게 했다."폭포보다 꽃들이
숫자
가 많으니까 자주 눈에 띌 수밖에 없었지요. 새로 보는 꽃들을 한두 장씩 찍다가 79년 처음 해외여행을 나갔을 때 꽃사진을 찍겠다고 결심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보지 못하던 꽃들을 보고 그냥 지나칠 수 없었던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