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빨리 오고, 예측 빗나가고 올해 독감, 왜 이리 독한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예측 실패가 하나의 원인으로 꼽힌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004년 이후 현재까지 WHO의 예측 적중률은 평균 40.85%에 불과하다. 세계적인 의학 전문지인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은 2017년 11월 29일자에 “WHO 권고 백신이 호주에서는 단 10%만이 효과를 봤으며, 변종 바이러스에 대해 ... ...
- [아파트] 외벽타고 상승하는 불, 불연성 외장재가 해답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약 2분 만에 벽 전체를 태웠다. 정부는 2015년 1월 경기도 의정부시 아파트 화재 참사 이후 6층 이상의 건물 외벽에는 드라이비트용 단열재를 가연성 소재로 쓸 수 없도록 건축법을 바꿨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페놀수지와 발포제를 반응시켜 생성한 열경화성 셀룰러 폴리머(페놀릭 폼)로 외벽에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붙습니다. 그 결과 염색체가 반씩 찢어지며 세포의 양쪽 끝으로 당겨집니다(위 그림). 이후에 세포질이 분열되면 염색체 분리가 한 번 더 일어나고, 마지막에 23개의 염색체를 갖는 생식세포 4개가 만들어 집니다. 그러나 모든 일에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죠. 염색체 구조에 문제가 있거나, 한쪽 ... ...
- [인터뷰]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는 ‘인성’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구성돼 있다. 지원자의 인성 평가는 전형 과정에서 1단계와 3단계뿐만 아니라 전형 이후 남아 있는 중학교 생활까지 이어진다. 대전 과학고는 ‘스스로 탐구해서 세상을 창조적으로 변화시키는 글로벌 과학 리더를 육성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올바른 인성이 토대가 돼야 ... ...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동계올림픽은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로 30년 만에 한국에서 열리는 올림픽이야. 그때는 나의 친척 호돌이 삼촌과 호순이 이모가 올림픽을 축하해줬지. 이번에는 내가 하게 되다니 감회가 새롭다. 오는 2월 9일 오후 8시는 꼭 집중해 줘. 개막식이 열리거든. 모든 공중파 채널에서 중계할 예정이니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여기에 사람 모양의 상체를 붙인 ‘펫맨(Petman)’을 개발해 방호복 테스트에 사용했다. 이후 여러 가지 업그레이드를 거쳐 2013년도 일본 소프트뱅크가 인수한 로봇전문기업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최근 유튜브에 올린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아틀라스(Atlas)’의 체조 기술이 화제다. 2017년 1 ... ...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961년 옛 소련의 우주비행사인 유리 가가린이 인류 최초로 지구 궤도 비행에 성공한 이후 연구가 시작됐다. 레토르트 포장도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진행한 우주식 연구의 산물이다. 우주식은 밀폐가 필수다. 국물이나 가루가 진공 상태의 우주선을 떠돌아 다니다 기계 고장이나 오류를 유발할 수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더러운 단어가 아니다. 생물학적 관점에서 볼 때 배변 활동은 멋진 과정이며 배설한 이후에도 배설물의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책 전반에서 이렇게 혐오스러운 이미지를 갖춘 대변(大便)을 대변(代辯)한다. 인간이 필요하지 않다고 여긴 찌꺼기가 다른 생명에겐 꼭 필요한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오 씨는 “고등학교 때 R&E에 실패했던 일이 오히려 이후 성적 향상의 계기가 됐다”며 “실패가 힘을 낼 수 있게 만드는 기폭제가 될 수도 있는 만큼 조금 뒤처졌다고 생각해도 좌절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출현해 오히려 사람이 인공지능의 생각을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고 해요. 노이만 이후 많은 과학자와 철학자, 미래학자들이 특이점에 관해 많은 추측을 내놓았어요. 미국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윌리엄 뎀스키는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인공지능은 절대 사람과 같아질 수 없다고 했고, 미래학자 레이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