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뉴스
"
결과
"(으)로 총 2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미 안데스에선 온실가스가 가뭄 해결사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이번 연구는 남아프리카와 이란 지역에서 온실가스가 가뭄의 주요 원인이라는 기존 연구
결과
에 의문을 제기하며 인간 활동의 영향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 필요성을 제시한다. 감종훈 교수는 "저개발국·개발도상국은 기후 위기로 인한 극한 기후 피해가 상대적으로 더 크지만 선제적인 대응은 ... ...
"과학기술 비자발 실직자, 5개월 연속 증가…R&D예산 삭감 여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의원실이 국회입법조사처로부터 받은 통계청 고용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5월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의 비자발적 실직자는 2만9603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446명 늘어난 수치로 약 9% 증가했다. 비자발적 실직자란 ‘직장의 휴업·폐업’, ... ...
태양열 반사 스마트섬유...도시열섬현상 대비책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누운 상태와 서 있는 상태에서 닿는 열에너지로 인한 온도를 각각 측정했다. 그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섬유로 만든 의복을 입은 사람에게 도달하는 온도는 기존 냉각 기능성 섬유보다 최대 8.9도 낮았다. 태양 복사열 반사율은 약 97%에 달했다. 또 세워진 상태였을 때 눕혀진 상태보다 냉각 효과가 ... ...
연구데이터 부족한 희귀질환 진단, 전장유전체가 해결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최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선 11명의 급성 중증 신생아 환자를 대상으로 rWGS 를 실시한
결과
진단율 45%를 기록했으며 4명의 환아에 대해 새로운 유전변이를 제시했다. 박 연구관은 향후에는 WGS 기술이 병명이 확정되지 않거나 질환의 원인을 규명하지 못한 미진단 희귀질환의 해법이 될 것이라고 ... ...
"석유 나올 것"…'젊은 땅' 포항·영일만에 눈독 들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지역에서 채굴되는 벤토나이트는 불순물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95% 이상 고순도라는 연구
결과
가 있다. 포항의 '선상지 삼각주'는 한반도 퇴적 지형 연구에서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곳이다. 황 연구원은 1990년대에 세계 지질학계에 선상지 삼각주 개념이 생길 때 처음 포항에서 선상지 삼각주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2D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높이는 새 전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접촉시키자 태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안정성이 크게 향상됐다. 실험
결과
85도 햇빛에서 24.1%의 광전환 효율을 보였다. 1000시간 동안 에너지를 변환한 후에도 초기 효율의 97% 수준을 유지했다. 연구팀은 "새로운 전략은 향상된 광전자 특성과 탁월한 안전성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의 생각이 무조건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2024.06.15
잘 되면 자기 탓 안 되면 남탓을 하는 귀인오류를 보이고 원래 그럴 줄 몰랐으면서
결과
를 알고 난 후에야 자신은 처음부터 다 알고 있었다고 생각하는 후견지명 효과를 보이며 뭘 잘 모를 때 잘 알 때에 비해 더 자신감이 높은 더닝-크루거 효과를 보이는 동물이다. 자신이 정말 옳다는 확신이 들 ... ...
바퀴벌레도 잡는다는 '풋샴푸' 정체는
과학동아
l
2024.06.15
못하는 현상을 보고 계면활성제를 살충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는 연구
결과
를 2023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10.1038/s41598-023-29455-6) 한국은 아직 이런 가능성을 크게 보지는 않는다. 김민주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독성위해평가과 주무관에 따르면 ... ...
[표지로 읽는 과학] 진화하는 알파폴드…단백질-생체분자 상호작용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6.15
연구원이 이끈 공동연구팀은 알파폴드의 최신 버전인 알파폴드3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
를 지난달 9일 네이처에 공개했다. 생명 현상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재료 물질인 아미노산이 수백 개에서 수천 개가 결합해 만든 입체 구조에 따라 기능이 달라진다. 단백질 구조를 알아내면 아직까지 알려지지 ... ...
기후변화로 '단식 기간' 늘어난 북극곰, 2030년대 멸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감소한 것으로 보고된 서부와 남부 허드슨만의 기온 변화를 기후모델로 예측했다. 그
결과
허드슨만 서부와 남부에서 평균기온이 각각 2.1℃, 2.6℃ 상승하면 해빙이 없는 기간이 183일을 넘어 건강한 성체 북극곰도 생존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됐다. 또 해빙이 봄에 더 일찍 발생해 11월에서 1월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