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5,994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실에서 탄생한 ‘인공모유’ 분유시장 지각변동 일으킬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19
통해 젖산을 유도한다는 개념은 새로운 것은 아니다. 지난 수십년 동안 과학자들은 포유
동물
및 인간 유방 상피세포로 이뤄진 3차원(3D) 클러스터와 젖샘 자극 호르몬을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이는 유선과 관련된 생물학 연구가 목적으로 산업적으로 모유를 만들어내기 위한 것은 아니었다. ... ...
트럼프, 존슨, 푸틴 당신들 덕분에 깨달았소. 의학교육의 중요성을…올해 엽기노벨상 (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7명에게 돌아갔다. 에렌 박사는 “이누이트 족은 자신들의 배설물을 얼려 칼을 만들어
동물
을 자르는 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우리가 직접 실험한 결과 예상과 달리 칼이 잘 들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고고학 과학저널: 리포트’ 2019년 10월호에 실렸다. 올해 이그노벨상 ... ...
미래 단백질 공급원은 '
동물
반식물반'?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톰 모르만 프로티팜 대표(왼쪽)과 미요코 시너 미요코스크리머리 대표(맨 오른쪽)이 육류를 대체할 미래 단백질 공급원을 놓고 18일 '세계지식포럼'에서 토 ... 연구하며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며 “감염병의 경우도 곤충은 인간과 생물학적으로 매우 먼
동물
이라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 ...
결장암 발병 원인 '돌연변이' 정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바이오융합연구소 자문교수)와 쓰키야마 다다스케 일본 홋카이도대 의대 교수팀은
동물
세포 내 신호경로 중 하나인 윈트(Wnt)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단백질에서 특정한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결장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막을 방법까지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수두파티, 그리고 코흐
2020.09.17
결핵균은 탄저균보다 분리해서 배양하기가 훨씬 더 어려웠다. 탄저균과는 달리 살아있는
동물
체내에서만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코흐는 특별한 배지를 만들어 결핵균 배양에 성공했고, 그렇게 배양한 균이 결핵을 일으킨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후 코흐는 콜레라균을 발견해 그 성질을 ... ...
[화보+]가장 오래된 정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정도로 나타났다. 이는 패충류가 택한 번식 전략과 연관이 있다. 인간을 비롯한 대부분의
동물
은 작은 정자를 엄청난 양으로 만들어 방출하는 방법을 택한다. 수를 늘려 성공률을 높이는 전략이다. 하지만 초파리나 패충류는 자신의 몸보다 길 정도로 큰 대형 정자를 만든다. 이럴 경우 정자의 크기가 ... ...
정말 바이러스를 뜯어고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들 수 있을까
2020.09.17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노란색)에 심하게 감염돼 사멸에 이르고 있는 세포(붉은색)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NIAID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 ... ‘매드 사이언스 페스티벌’을 2년 연속 개최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구조생물학과
동물
발생생물학이다 ... ...
[팩트체크] 우한연구소 코로나바이러스 조작설 논문...전문가들 "증거 불충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같은 현상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서도 비슷하게 발견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
동물
에서 자연적으로 일어난 삽입 현상이라는 강한 증거”라고 밝혔다. 미국 듀크대와 중국 지린대 등의 7월 ‘사이어스 어드밴시스’ 논문 역시 인간과 박쥐, 천산갑 등에 감염되는 코로나바이러스 43종의 게놈 ... ...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체 침투 관문 문턱 확 높일 새 표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약물재창출을 통해 코로나19 치료제로 바꿀 가능성도 제시했다. 에스코 교수는 “다만
동물
실험부터 새롭게 진행해야 하는 만큼 헤파린이나 비슷한 저해제를 치료제로 활용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북극해 입구 거의 녹았다” 아라온호의 증언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등을 관측했다. 5년 만의 장거리 관측으로 200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 미만의 소형
동물
플랑크톤도 처음으로 채집했다. 아라온호 연구팀은 북위 75도 지점에 설치했던 5기의 수중 장기계류관측시스템도 회수 후 재설치에 성공했다. 이중 2기에는 2017년부터 3년간의 기록이 담겨 있다.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