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9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난제 해결하고·미래사회 문제 돌파할 키워드 '융합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열린 올해 미래융합포럼은 11회째를 맞았다. ‘융합,
한계
를 돌파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는 주제로 산학연 전문가들이 모여 미래 융합연구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한다. 오전 열린 개회식에서는 문미옥 과기정통부 1차관의 격려사와 함께 한민구 ... ...
‘웃음 가스’로 만든 테라헤르츠 레이저
과학동아
l
2019.12.04
테라헤르츠파 광원은 아주 적은 폭의 특정 테라헤르츠만 생성할 수 있어 활용하는 데
한계
가 있었다. 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대(MIT), 미 육군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대역 폭의 테라헤르츠파를 생성할 수 있는 광원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웃음 가스’로 알려진 ... ...
‘나노 셔터’로 전자 움직임 포착하다
과학동아
l
2019.12.04
것으로 확인됐다. 심흥선 KAIST 물리학과 교수는 “양자역학 상태를 제어해 기존 기술의
한계
를 돌파했다”며 “초정밀 전자기장 센서 등 차세대 양자정보 소자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65-019-0563-2 ... ...
“인간 중심 융합연구 비전 제시”…4일 미래융합포럼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대한 인식 제고와 융합 생태계 구축을 목적으로 2009년부터 매년 개최됐다. ‘융합,
한계
를 돌파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열리는 올해 포럼의 하이라이트는 ‘디지털 휴머니티’, ‘신체적·사회적 노화 케어’, ‘환경복지시스템’ 등 인간 중심 미래사회 구현에 선제적인 준비가 필요한 ... ...
태양전지 효율 이론
한계
뛰어넘을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현재 쓰이고 있는 실리콘 태양전지는 열 손실이 커 빛에서 전기로 변환되는 효율의 이론
한계
는 33.7%다. 이번에 합성한 2차원 물질을 이용하면 태양전지 효율을 46%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이영희 단장은 “이번에 관측된 2차원 전이금속 칼코젠 소재의 독특한 광학적 특성은 ... ...
[대한민국 산업기술 100장면] 2000년대 한국 디스플레이 강국 발돋움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해도 빠른 응답 속도와 초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었던 PDP와 달리 TFT-LCD는 30인치가
한계
로 여겨져 왔다. 삼성전자는 이를 한 번에 돌파하며 한국이 디스플레이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후 삼성전자는 2011년 세계 최초로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5.5세대를 가동하며 모바일 ... ...
대변 냄새로 대장암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소변은 많은 성분이 혈액에서 여과돼 물과 요소 등만 배출하므로 암을 진단하는 데에는
한계
가 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음식물을 소화하고 남은 거의 모든 찌꺼기가 고스란히 나오는 대변으로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전문가들은 대변을 활용해 대장암을 조기 진단하는 방법을 ... ...
'생각대로 움직이는 인공 팔'의 비밀 밝혀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피부 신호 전달은 정교하지 않다는 점에서
한계
가 있다. 현재 연구진은 두 기술의
한계
를 극복한 생체신호 제어용 신호처리 기술을 개발하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함께 원숭이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오로맙과 바이오닉암은 정부가 21세기 기술혁명과 융합기술을 기반으로 신성장동력을 만들기 ... ...
고효율 바이오연료 생산하는 미생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1
등도 가능할 전망이다. 이선미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기존 바이오연료의
한계
를 넘을 뿐 아니라, 2세대 바이오연료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지구변화생물학바이오에너지’ 10월 10일자에 발표됐다 ... ...
인간 막단백질 접힘 경로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11.30
나선 막 단백질의 이같은 접힘 현상을 직접 관찰하려는 연구를 해왔지만 실험의
한계
로 명확하게 관측하지 못했다. 또 1990년에 발표된 2단계를 통한 나선 막 단백질 형성 과정이 학계 정설로 존재했다. 윤태영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최현규 연구원으로 이뤄진 연구팀은 최희정 서울대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