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ASA"(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블랙홀 헌터’의 무기, 뭐가 좋을까2015.03.13
- 120억 배에 이르는 거대 블랙홀을 발견한 ‘와이즈(WISE)’ 우주망원경.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광활한 우주에서 블랙홀을 찾는 ‘블랙홀 헌터’가 사용할 수 있는 ‘무기’는 크게 두 가지다. 우주망원경과 지상망원경. 이번에 거대 블랙홀을 찾아낸 것은 적외선 우주망원경 ‘와이즈(WISE)’다. ... ...
- 초속 1200km로 이동하는 은하계 가장 빠른 별 발견2015.03.08
- 아래에 있는 노란 빛은 이 별을 날려보낸 초신성이다. - 유럽우주국(ESA),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은하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별이 발견됐다. 슈테판 가이어 유럽남방천문대 박사팀은 1초에 1200km를 날아가는 ‘초고속 별’을 발견하고 ‘사이언스’ 6일자에 발표했다. 초당 120 ... ...
- 왜소행성 ‘세레스’ 오늘 밤 인류 첫 탐사 2015.03.06
- 우리 시간으로 6일 오후 9시 20분경 세레스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비행시간 7년 5개월, 비행거리 49억 km.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07년 9월 우주로 보낸 탐사선 ‘돈(Dawn)’이 우리 시간으로 6일 오후 9시 20분경 세레스(Ceres) 궤도에 진입한다. 세레스는 화성과 목성 ... ...
- 글라이더로 인공위성 쏘아 올리는 세상 온다2015.02.16
- 궤도로 올릴 수 있게 되므로 발사비용 등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걸로 예상된다. NASA는 과거부터 항공기에서 인공위성을 직접 발사하는 연구를 꾸준히 수행해 오고 있다. F-15 전투기로 글라이더를 견인하는 ‘ALASA’ 프로젝트 역시 동시에 진행 중이다. 그러나 TGLAS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해 ... ...
- 1990년 밸런타인데이, ‘보이저 1호’가 준 선물2015.02.12
- 보이저 1호가 지구로 보내온 사진. 확대해보면 푸른 점(Pale Blue Dot) 하나가 보인다. - 미국 NASA 제공 칼 세이건은 사진 속 지구에게 ‘Pale Blue Dot’이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그리고 같은 이름의 저서에서 이렇게 얘기합니다. “지구에 사는 모든 존재는 한 줄기 햇살 속에 흩날리는 먼지, 티끌 ... ...
- 7000광년 밖 별의 요람이 눈앞에!과학동아 l2015.02.11
- 1995년 4월 1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거짓말 같은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 지구에서 7000광년 떨어진 독수리 성운에서 성간물질과 먼지가 마치 기둥 같이 늘어서 있는 광경 ... 큰 별들에 의해 물질이 가열된 결과다. 아래 검은 기둥은 상대적으로 차갑게 식은 기체다. - ESA 제공 NASA 제 ... ...
- 우주의 시공간을 황금비율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5.02.09
- 은하 M101. - NASA 제공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비율로 알려진 황금비율은 은하와 허리케인, 해바라기 등 자연에서 쉽게 찾아볼 수가 있다. 그런데 이런 황금비율이 우주의 시공간 자체를 만든다는 주장이 나왔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토리아대 잰 보이언스 박사와 비트바테르스란트대 프랜시스 ... ...
- 게 성운 사진 공개, 1000년 전부터 관측해와…‘6500광년 거리’동아닷컴 l2015.02.03
- 우주망원경으로 관측된 데이터 이미지를 합성한 사진이다. 공개된 게 성운 사진은 NASA의 허블 우주망원경이 세 개의 필터를 통해 관측한 사진이다. 사진 속 푸른 부분은 초당 30회 우리 쪽을 향해 번쩍이는 가시광선이다 반면 붉은 부분은 유럽우주국(ESA)의 허셜 우주망원경이 성운의 먼지 입자를 ... ...
- 27일 오후 1시, 소행성 또 지구 접근2015.01.26
- 소행성은 약 1500개 정도로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20배보다 가까운 거리까지 접근한다. NASA는 이들을 ‘잠재적 위험 소행성(PHAs)'라는 이름을 붙여 따로 관리하고 있다.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20배나 되는 궤도를 가진 소행성까지 관리하는 이유는 태양계 행성이 소행성에 미치는 중력이나 ... ...
- 부상병 안고 뛰는 한국형 구조로봇 첫 개발2015.01.22
- 전문기업 보스턴다이나믹스는 고성능 인간형 로봇 ‘아틀라스’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외계탐사가 가능한 인간형 로봇 ‘발키리’를 개발 중이다. 국내에서도 KAIST 외에 여러 곳에서 재난 및 구조용 로봇 개발이 한창이다. 국내 로봇기업 ‘로보티즈’는 재난로봇 ‘똘망’을 개발해 올해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