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뇌 세포 + 로봇 = 사이보그?!2008년,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진은 쥐의 뇌 세포 30만 개로 움직이는 로봇을 개발 했다고 발표했어요. ‘고든’이라 ... 신분증이 내 몸속에!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실전! 반려동물] 개는 왜사람을 무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거의 없어요. 그래서 휠체어 타는 사람이나 자동으로 문이 열리고 닫히는 엘리베이터 등 새로운 상황을 만나면 깜짝 놀라며 불안과 공포를 느끼지요. 또 보호자와 반려견의 불안한 관계도 원인이 될 수 있어요. 가족 구성원과 안정적인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다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려고 공격적인 ... ...
- [과학뉴스] 인공 DNA로 단백질 만들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X가 들어간 AXC와 GXC 등 세 염기의 조합으로 자연계에 없던 새로운 아미노산을 만들었다. 4개의 염기로 만들 수 있는 아미노산은 총 20개이지만, X와 Y가 포함되면 최대 172개의 아미노산을 생성할 수 있다. 로메스버그 박사는 “우리 연구는 생명이 살아가는 방식을 바꿀 수 있는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문, 얼굴, 홍채 인식 등과 더불어 위조나 변조가 불가능한 새로운 생체정보가 하나 이상 추가돼야 할 것”이라며 “현재 나와있는 생체인증 중에는 지정맥(손가락 정맥) 인증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나의, 나에의한, ...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꽤나 많습니다. 심장을 이식 받은 김과동은 평생 면역억제제를 먹어야 합니다. 새로운 삶을 살게 됐지만, 참고 이겨내야 할 것들도 많아진 겁니다. 아직 고등학생인 과동이가 견디기엔 쉽지 않은 일일 겁니다. 그럼 각막을 이식 받은 최기자는 어떨까요. 기자는 최소한의 면역억제제만 복용하면 ... ...
- 이공계 직업 정보 [화학&신소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현재 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술을 개발하거나, 아예 새로운 배터리를 개발할 수도 있다. 특히 리튬의 경우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이를 대체할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이처럼 얇게 만들어 옷이나 컵 표면 등 어디에나 쉽게 인쇄하는 신개념 ... ...
- Part 3. 역사의 흐름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피터 터친 교수는 수학, 경제사, 거시사회학 등을 결합해 ‘역사 동역학’이라는 새로운 학문분야를 만들었어요. 역사 동역학은 파운데이션의 심리역사학처럼 급격한 인구 증가, 종교의 확산 같은 사회 현상을 일으키는 변수와 정치적 혼란, 폭동 같은 역사적 사건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학 모델을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많은 새로운 경우를 증명했습니다. 참 어려운 말의 연속이죠? 쉽게 말하면 그 전에 없던 새로운 개념을 도입해 난제를 해결했고, 이 개념이 다른 문제를 푸는 데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겁니다. 신통방통하게도 퍼펙토이드라는 녀석은 수학의 서로 다른 분야를 연결하는 데 탁월한 능력이 있어서, ... ...
- [가상인터뷰] 야생종으로 바나나의 멸종을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작동하지 못하지요. 연구팀은 캐번디시의 RGA2 유전자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조작해 새로운 품종을 만들었어요. 새로 개발한 신품종과 캐번디시를 여러 지역에서 3년 동안 재배해 봤지요. 그 결과, 캐번디시는 평균 20% 정도가 살아남은 반면 신품종은 적게는 67%, 많게는 모든 개체가 살아남았어요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복슬복슬 꼬부랑, 다람쥐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겨울에도 초록빛을 잃지 않는 식물들이 있어요. 소나무과 식물과 나무나 바위에 붙어 사는 석송과 식물들이 대표적이죠. 그중에서도 동물을 닮은 식물이 있어요. ... 것을 뜻해요. 다람쥐꼬리는 줄기 맨 꼭대기에서 막눈이나며, 이 막눈이 땅에 떨어지면 새로운 다람쥐꼬리로 자라난답니다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