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국유학일기] 대포가 쏘아 올린 방 배정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첫 번째 토요일에 플레밍 대포 소리와 함께 신입생들의 기숙사 배치를 알려주는 행사가 시작된다. 물론 이런 기숙사 시스템에 참여하기 싫거나 기숙사에 자리가 없어 들어가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벡텔(Bechtel)’이라는 주거 공간도 있다. 기숙사는 사회 활동의 장이자 친구를 사귀기 가장 쉬운 ... ...
- 발굴 현장에서 지도를 그려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설치된 3D 스캐너를 작동시키자, 가운데 있는 프리즘이 수직 방향으로 빠르게회전하기 시작했습니다. 동시에 3D 스캐너 역시 수평 방향으로 360°로 회전하며 스캐너 주위를빠짐없이 촬영했습니다. 3D 스캐너에서 나오는 레이저는 프리즘을 만나 반사되는데, 360°로 회전하는 프리즘은 레이저를다양한 ... ...
- [매스크래프트]#2. 태국의 수상가옥에서 한붓그리기가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있군요(쓴웃음). 그 추억을 회상하며 태국에서 봤던 수상가옥을 만들어보겠습니다. 그럼 시작 전에 좋아요 꾸욱! 구독 꾸욱! 누르면 수학 시험 100점 맞을지도~? 집을 한 채도 아니고 여러 채 지었더니 정말 힘드네요. 하지만 완성작품을 보니 왕왕 뿌듯합니다. 제 상상력을 더해서 수상가옥끼리 ... ...
- [과학뉴스] 호주를 삼켜버린 사상 최악의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산불 진화 현장에 투입했답니다.이번 호주 산불은 작년 9월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시작됐어요. 올해 초 불길이 다시 타오르며, 해안을 따라 호주 남동부 전역으로 번졌지요. 서울시 면적의 104배에 달하는 6만㎢가 잿더미로 변했답니다. 전문가들은 산불이 이처럼 커진 원인으로 건조한 기후와 높은 ... ...
- 미세먼지 많은 겨울철, 창문 열어? 말아?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농구를 하는 게 일상생활의 전부였던 나의 겨울방학에 찾아온 행복한 일탈은 그렇게 시작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소속 과학자를 만나러 간다니 설렘이 앞섰다. 집에서 30분간 차로 달려 도착한 KIST에는 소박한(?) 건물들이 많았다. 뭔가 연구원 같은, 과학적인 느낌의 건물이라고나 할까. 입을 ... ...
- AI, 감히 나를 평가해? AI 면접 '찐후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때까지 몇 번이고 다시 촬영할 수 있었다. 등록을 마치자 AI 면접관은 간단한 질문부터 시작했다. ‘자기소개를 해주세요’ ‘업무에 대한 지원동기가 무엇인가요’ ‘자신의 장·단점이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등 사전조사 성격의 질문이었다. 면접 지원자에게는 각 질문마다 생각할 시간 60초와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10월 제약기업인 안국약품과 공동으로 항암 효과가 있는 작용제 후보 발굴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예 교수는 “작용제 분리 기법을 이용해 작용제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는 게 목표”라며 “최근 암 치료 물질로 주목받는 엑소좀(exosome) 등에도 항체를 접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연재작 출간 기념 책수다] 숙녀들의 수첩, 수학이 여자의 것이었을 때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있는가! 목표 성취로 가는 초지름길, ‘숙녀들의 수첩: 수학이 여자의 것이었을 때’로 시작하자. 만화 반, 글 반이라 분량이 적당하고 ‘이것도 책’이라며 으스댈 수 있다. 그래도 망설일 사람들을 위해 저자 두 명이 만났다. 만화를 그렸고 ‘만화로 보는 곤충의 진화’로도 유명한 갈로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신기한 대칭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순간부터 대칭이란 가치를 추구하게 되었고, 수학자 역시 자연스럽게 대칭을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거 아세요? 대칭 하면 떠오르는 물체나 구조는 사실 대칭의 절반밖에 보여주지 못합니다. ‘대칭’ 이란 개념 그 자체가 아니라 ‘대칭적’ 물체라는 수동적인 의미만을 나타내죠. 자세히 ... ...
- [스타쌤 수학공부 꿀팁] 수학으로 소통하고 수학으로 관계 맺기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건지, 어떤 방식으로 점수를 매길 건지 합의하죠. 학생들의 이해가 기반이 된 상태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참여도가 높은 겁니다. 꼼꼼한 공책 정리로 완벽히 개념 이해!학생들이 모둠 활동과 함께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꼽은 두 번째는 ‘공책 정리’였습니다. 이 선생님은 영상 자료나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