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등장했다.굴절망원경은 20세기 초까지 망원경의 왕좌에 군림했다. 갈릴레이가 목성의 4대
위성
과 태양 흑점, 금성의 위상변화와 달의 크레이터를 발견한 것은 구경 42㎜ 배율 9배의 굴절망원경이었다. 뉴턴의 잘못된 판단으로 굴절망원경은 색수차를 없앨 수 없다고 알려져 인기를 잃었으나, 18세기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있다. 이를 위해서는 마이크로웨이브(전자파)로 통신을 확보하는 방안과 함께 우주통신
위성
을 이용하여 육상도시 혹은 세계 곳곳의 도시와 교신 네트워크(통신망)를 구축하고, 또 도시내의 통신문제에 대해서는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완전한 통신망을 구축하는 방안이 있다. 매립식에서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인간의 과학의식은 그 민족 및 사회의 특유한 옷을 입고서야 나타난다.그러므로 인공
위성
을 띄우고 고집적 회로를 만드는 것과 마찬가지로 아니 어쩌면 더 중요하게, 제대로 된 못을 만드는 것이나 밝기가 일정하고 오래가는 형광등을 만드는 일은 중요하다. 이런 일들이야말로 나날이 선진국의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볼 수 있다. 아마추어들이 사용하는 소형 망원경으로는 별처럼 생긴 소용돌이의 핵과
위성
은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은하의 나선 팔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천문대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이 은하까지의 거리는 지구로부터 1천8백광년이다. 고유운동(proper motion)항성은 움직이지 않는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알아내려는 광역지진학에 대한 관심이 일고 있는데…우주의 신비를 캐기 위해 인공
위성
이나 우주선을 발사하여 태양계를 탐사하고 있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그러나 땅속의 신비를 알아내기 위해 지구 내부로 탐사선을 발사했다는 소식은 아직 듣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인간이 땅속으로 ... ...
리온스(수학) 와일드(의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컴퓨터 제어기술의 기초를 세운 공로를 인정받았다. 오늘날 용광로 화학플랜트
위성
제어에 이르기까지 컴퓨터에 의한 정밀제어가 널리 쓰이고 있는데 이는 편미분방정식과 실제 조건을 기술하는 요소들에 의해 정확히 표현된다. 리온스박사는 60년대 후반에 이 방법이 수학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는 물질은 아주 작은 입자(10㎛)임이 분명하다. 이 입자들은 목성에서 가장 가까운
위성
인 메티스(Metis)와 아드라스테아(Adrastea)에 운석이 떨어져서 생긴 먼지로 생각되고 있다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과학영재교육이라는 긴급 수혈을 한 것. 실제로 1957년 소련이 쏘아올린 인류최초의 인공
위성
스푸트니크호 사건은 서방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을 뿐 아니라 과학영재교육에 있어서도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미국의 과학고교중 가장 유명한 곳은 브롱스과학고등학교. 1938년에 문을 연 브롱스고교는 ... ...
지구 최초의 음식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미국립항공우주국은 톨린의 역할을 알아내기 위해 1996년 타이탄행 우주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처음 나타난 생명체는 무엇이었을까. 또 최초 ... 지구처럼 따뜻해지면, 톨린을 먹은 박테리아들이 진화해 타이탄을 생물로 가득 채워진
위성
으로 만들지도 모른다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위치하고 있다. 이들 망원경은 박명(薄明)한계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의 목표물인 은하나
위성
들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혜성이 나타날 때는 작은 쌍안경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밝기까지 접근해 있는 상황이므로 일반 관측자들과 천문대와의 공정한 게임이 가능하다. 실제로 현재까지 혜성중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