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식
형식상
정규
식
범식
공인
뉴스
"
공식
"(으)로 총 2,594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부터 한국에 ‘우주인’은 없다
2014.08.12
12일 수리해 퇴직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 박사가 민간인 신분이 되면서 정부가
공식
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한국 우주인’ 타이틀이 사라지게 됐다. 정부는 260억 원을 투입해 이 박사를 선발, 1년간 러시아에서 훈련을 받도록 했다. 2008년 4월 8일 우주로 나간 이 박사는 국제우주정거장(ISS ... ...
‘지맵’ 에볼라 고칠 기적의 약 될까
과학동아
l
2014.08.05
생존했다. 두 미국인의 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위 사실을
공식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맵바이오파마큐티컬 CEO인 래리 자이틀린이 샌디에이고 주의 한 지역 매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에 대응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고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모든 수단을 동원했는데 자이르 킨샤사에서 급송한 소피의 혈장을 주사하기도 했다.
공식
적인 첫 사망자인 마발로의 아내인 소피는 병에서 살아남았기 때문에 혈액에 에볼라 바이러스 항체가 있을 것이므로 혈장이 치료제 역할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플랫의 상태는 너 나빠졌고 정신착란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두 시간 넘게 두들겨 부쉈다, 왜?
과학동아
l
2014.08.03
성공은 어느 정도 예견된 것이었다. 실제로 트랜스포머를 좋아하는 관객이라면 이런
공식
에 이미 익숙해 있기 때문이다. 이 시리즈는 회를 거듭할수록 액션신의 분량을 늘려 왔고, 그걸 차곡차곡 봐왔던 관객들은 은연 중에 ‘귀여운 변신로봇 범블비와 듬직한 옵티머스 프라임을 보려면 이런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첫 부인에게서 본 드미트리와 두 번째 부인이 낳은 이반과 알료사다. 표도르에게는 비
공식
아들이 또 있었으니 하인(요리사)으로 부리는 스메르쟈꼬프로 그가 거지를 건드려 낳은 자식이다. 표도르가 아버지를 모델로 했다면 형제들은 도스토예프스키 자신의 분신이다. 즉 첫째 드미트리는 ... ...
[유병언 미스터리] 사망원인 정말 알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2014.07.27
7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거 믿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국과수의
공식
발표에도 불구하고 ‘시신이 정말 유 씨의 것이 맞느냐’는 의혹은 계속 제기되고 있다. 25일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의원은 시신이 바꿔치기 됐을 가능성에 대한 의혹을 제기했다. 면사무소 업무일지와 1 ... ...
“당신은 동요하고 있습니까?”
과학동아
l
2014.07.27
‘매트릭스’로 우리에게 친숙해진 배우 로렌스 피시번이 휠체어 신세가 된 닉에게 묻는
공식
적인 첫 질문이다. 자신을 데이먼이라 소개한 그는 닉이 무슨 어마어마한 바이러스의 보균자라도 되는 것처럼 방호복으로 몸을 꽁꽁 싸맸다. 닉은 여기가 어디이며 다른 친구들을 보고 싶다고 하지만 ... ...
IBM 제치고, 샤프 따돌리고, ‘메이드 인 코리아’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14.07.25
발전 효율이 17.9%로 미국 재생에너지연구소(NREL)가 홈페이지를 통해 ‘세계 1위’를
공식
인정했다. 최만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3세대 태양전지 분야에서는 미국 IBM, 일본 샤프 등을 제치고 큰 차이로 앞서 있다”면서 “스위스 로잔공대, 영국 옥스퍼드대 등이 우리 뒤를 바짝 쫓고 ... ...
탈북 과학기술인 “북한선 중산층 이상으로 살았는데…”
과학동아
l
2014.07.22
있는 사람들로 군사기술 연구자도 포함돼 있다”면서 “그들의 실력을 검증 할 수 있는
공식
기관을 지정하는 마련하는 한편, 재교육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①] 수학 불모지에서 중심국으로
과학동아
l
2014.07.18
당시 대한수학회 회장이었던 민경찬 연세대 교수가 2014년 ICM을 한국에서 유치하겠다고
공식
선언한 것이다. 하지만 세계 수학계에서 불모지와 같았던 한국의 깜짝 선언에도 유치가 불가능할 거라는 예측이 지배적이었다. ‘꿈은 이뤄진다’는 신념 속에 수학자들의 노력은 차근차근 진행됐다.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