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뉴스
"
국내
"(으)로 총 18,24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동 장애로 알았는데…틱장애 신규 환자 10명 중 4명 '성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유병률은 1000명당 2.6명이며 20세 이상 성인 유병률은 0.008%~0.024%에 그친다. 2003~2020년
국내
연간 틱장애 발생 건수. 2020년 신규 틱장애 환자의 41.8%는 성인이다. 서울대병원 제공. 틱장애 발생률 분석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드물다. 특정 질병의 발생 동향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한 시점의 질병 보유자 ... ...
홍합과 누에고치로 장기 출혈 막는다…새로운 지혈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흡수성 이중층 나노섬유막 접착 지혈제가 작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홍합과 누에고치를 사용한 단백질 생체소자 기반 지혈제를 개발했다. 기존 지혈제로 사용되는 거즈나 의료용 밴드보다 출혈 부위에 안정적으로 달라붙으면서 지혈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 ...
소고기 들어간 쌀알,
국내
연구진이 개발…새 단백질 공급원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동물성 근육과 지방 세포를 심어 배양한 쌀알의 모습. 연세대 제공. 쌀알과 동물세포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음식이 등장했다. 새로운 맛과 풍미를 내는 단백질 공급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매터’에 쌀알과 소의 세포를 통합해 만든 배양 ... ...
방사선 유발 DNA 돌연변이 정체 밝혔다…"방사선 치료 안전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기술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주영석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참여한
국내
공동연구팀이 방사선이 인간 및 생쥐의 정상 세포에서 만들어내는 DNA 돌연변이의 특성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암치료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인 방사선 치료는 암 조직을 효과적으로 파괴하거나 성장을 ... ...
[과기원NOW] GIST, 값비싼 질화갈륨 반도체 '무한 양산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교수를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상은 탁월한 학술 및 연구 실적으로
국내
‧외에서 KAIST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구성원에게 수여된다. 지난 2001년에 처음 제정됐다. 23번째 수상자로 선정된 명현 교수는 지난 한 해 동안 로봇 자율보행 신기술 ‘드림워크(DreamWaQ)' 개발 및 국제 대회에서 우승한 ... ...
[사이언스게시판] NST, 인공지능 통합 교육 과정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같은 기초연구 분야에서 상호 협력한다. IBS의 초고성능컴퓨팅 자원을 활용해 천문연이
국내
외 광학, 전파, 우주 관측시설에서 수집해 온 대용량 천체 관측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한다. 이 외에도 인력교류를 위한 공동세미나 등의 개최룰 공동 추진한다 ... ...
평생 반복되는 복통·설사…‘과민성장증후군’ 치료 유익균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을 앓고 있다.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증후군이지만 치료법이 명확하지 않다.
국내
연구팀이 과민성장증후군을 치료하는 유익균을 발견했다. 설사 증상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분당서울대병원은 김나영·이동호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이 과민성장증후군 치료에 효과가 있는 미생물 균주를 ... ...
노후 건물·항공기 균열, 한번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선임연구원이 메타물질을 활용한 결함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기계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노후된 건물이나 항공기, 철제 다리 등 오래된 구조물에 발생하는 갈라진 틈이나 결함을 한 번에 찾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초음파를 생성하는 메타물질을 활용하면 구조물을 파괴하지 ... ...
유전자 신호 따라 클러치 작동하는 스마트 나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나노로봇 크기를 나타낸 모식도.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나노로봇에 엔진을 구동하는 장치를 달았다. 체내에서 정밀한 자율주행이 가능한 나노로봇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천진우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연세대 언더우드 특훈교수) ... ...
소형모듈원자로 규제연구 추진단 초대 단장에 김인구 박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지난해 원안위에서 발표한 ‘SMR 안전규제 방향’과 이번 규제연구를 토대로
국내
에서 개발 중인 SMR이 최상의 안전성을 갖출 수 있도록 안전규제 기반을 조기에 마련해야 하는 책임을 느끼고 있다”며 “가변성이 큰 미래 SMR 규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사업목표를 반드시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