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신호"(으)로 총 3,621건 검색되었습니다.
- 1000배 정확한 조류인플루엔자 현장진단 기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1.20
- 휴대용 진단 키트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특정 바이러스를 만나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TFT를 구성한 뒤, 여기에 혈액 시료를 진단할 수 있는 유체진단 플랫폼을 결합했다. 그 뒤 이를 바탕으로 가로 12cm, 가로 9cm, 높이 5cm로 어른 주먹 크기보다 작은 검출기 키트를 만드는 데 ... ...
- 울산과기원, 입자 고르고 균열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2019.01.17
- 최소화해 전자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단전자 트랜지스터(전자 하나만 제어해 신호를 전달하는 집적회로 구성요소)'를 구현하는 것도 성공했다. 신 교수는 "그래핀 양자점 기반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빠른 정보처리와 저전력으로 작동하는 전자기기에 적용돼 기술적 진보를 가져올 것"이라고 ... ...
- "작은 싹이지만 인류에겐 위대한 도약" 창어4호, 달에서 목화씨 싹 틔웠다동아사이언스 l2019.01.16
- 첫 번째 식물이 탄생했음을 알렸다. 12일 오후 8시 3분에 실험 용기의 전원을 끄라는 신호가 창어 4호로 보내지며 첫 실험은 끝났다. 약 213시간 동안 용기 내 설치된 메인 카메라가 찍은 34장의 사진과 보조 카메라가 찍은 170개의 사진이 지구로 보내졌다. 온도, 기압 등의 용기 내 환경 측정 데이터도 ... ...
- 40대 전후 조기발병위암 원인 유전자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1.15
-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 같은 위암환자라도 각각 다른 세포 신호전달경로를 통해 증상이 나타나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 것도 새롭게 밝혀냈다. 이 교수는 “조기발병위암은 최근 국내에서 여성을 중심으로 그 발병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며 ... ...
- 쥐가 움직일 때 변화하는 뇌 신경세포 관찰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9.01.14
- 쥐가 운동할 때 실시간으로 뇌 영역의 세포 활성화를 관찰할 수 있는 기술로 향후 세포신호전달 연구와 뇌인지과학 연구에 접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 "올해 과학연구 기대하세요" 2019년 주목할 출연연 연구들2019.01.14
- 의한 시력 손상을 회복하는 게 목표다. 김재헌 KIST 센서시스템연구단장은 “광수용체의 신호로 시각세포를 자극하는 과정을 올해와 내년 집중 연구한 뒤 2021년부터 동물의 시각 복원을 시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노화를 늦추고 근감소증, 인지기능 저하 같은 노인성 ... ...
- '지구 평면설' 지지자들, 둥근 지구 바닷길 찾는 항법장치로 세계 여행 동아사이언스 l2019.01.13
- 평평한 원반이 아니라 구라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했다. GPS는 위성에서 보낸 신호를 바탕으로 자신의 위치를 추적한다. 위성을 기준으로 원을 그려 여러 개의 위성이 그리는 원이 겹치는 지점을 위치로 특정하기에 삼차원 공간에서 위치를 정하려면 최소 세 개의 위성이 필요하다. 하지만 ... ...
- 이진형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 "뇌회로도 풀어 뇌전증·치매 잡겠다"연합뉴스 l2019.01.11
- 단순히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게 아니라고 부연했다. 그는 "뇌는 신경세포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작동하기 때문에 뇌 회로도는 '완성'의 개념이라기보다 특정 부분이 고장 났을 때 질환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예컨대 뇌전증 환자의 경우 ... ...
- 땅밑에서 우주 탄생 비밀 푼다…日 아시아 첫 중력파검출기 연말 가동동아사이언스 l2019.01.11
- 가동되면 세계 중력파 검출기는 총 4개가 된다. 검출기 수가 늘어나면 불필요한 잡음 신호를 잘 잡아낼 수 있어 그동안 감지되지 못했던 중력파까지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중력파 발생지도 더 신속,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카그라협력단의 가지타 다카아키 일본 도교대 교수는 “일반상대성이론을 ... ...
- 줄기세포 배양 과정 이미지로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9.01.10
- 촬영한 결과 세포막에서 국소접착인산화효소와 칼슘이온의 상호작용을 확인했다. 두 신호물질은 특정 위치에 동시에 활성화돼 있으며 국소접착인산화효소에 의해 칼슘이온 활성이 조절된다는 사실도 밝혔다. 김태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줄기세포 이식에서 발생하는 세포접착의 난제를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