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정교
적확
명확
면밀
상세
세밀
뉴스
"
정밀
"(으)로 총 2,638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면역세포로 암 치료, 어디까지 왔나
2015.04.05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를 보는 순간 기자는 운석을 떠올렸다. 커다란 돌덩이 같은 것들이 날아와 부딪히는 모습처럼 보였기 때 ...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나노 센서가 기존의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보다 수백 만 배
정밀
하게 생체 내부를 측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31
만든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대형 비구면 반사경을
정밀
하게 깎는 기술을 가진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에 이용현 기자와 한주희 기자가 다녀왔어요. 우리도 함께 가 볼까요?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3A호는 528km 상공에서 4년간 지구의 기후나 환경 ... ...
“3세대 로봇 개발로 미래시장 선점해야”
2015.03.31
첨단 연구로 보긴 어려웠다”고 지적했다. 로봇 전문가들은 단순 반복 작업을 신속
정밀
하게 수행하는 지능형 로봇을 1세대로, 환경변화에 따라 행동하는 초기 서비스형 로봇을 2세대로 정의하고 있다. 조 융합클러스터장은 “앞으로는 인간과 상호소통하고 교감하는 3세대 지능형 로봇을 ... ...
“대기 중 오존농도, 지금까지 2% 낮게 측정됐다”
2015.03.30
결과 실제 오존 농도 값이 약 2% 더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물리적 기준을 변경하면
정밀
한 측정이 가능하므로 기상청이나 지자체 등이 보유한 기존 측정장비도 장비의 설정을 바꿔주면 더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이 연구결과를 다음 달 15~17일 열리는 국제도량형국 ... ...
오호~ 빛-열 이용해 나노반도체 도핑
2015.03.30
열에너지를 가했다. 그 결과 나노반도체 단위면적(1cm2) 당 100억~10조 개로 정공 농도를
정밀
하게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기존 도핑기술로 도핑할 수 있는 범위의 100배 정도에 맞먹는 면적이다. 2차원 나노반도체는 유연하고 투명한 소재에 활용할 수 있어 차세대 반도체 물질로 각광받고 ... ...
100배 싼 촉매 개발… “수소상용화 앞당겼다”
2015.03.29
유사한 촉매효과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여러 가지 니켈 화합물의 화학적 효과를
정밀
하게 예측했다. 그 결과 황화니켈을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작게 만들면 수소 발생을 위한 촉매 성능이 가장 우수해 진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나노 ... ...
55cm 물체도 식별… 적외선 탐지기능 갖춘 ‘한국의 눈’ 우주 올랐다
2015.03.27
해상도면 우주공간에서 지상에 사람이 서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기존 위성에 비해 더욱
정밀
한 영상을 얻기 위해 임무 궤도도 낮췄다. 아리랑3A호의 임무궤도는 528km로 685km에 자리 잡은 아리랑3호보다 100km 이상 낮다. 그만큼 지구를 도는 속도도 빨라지기 때문에 여기에 대응해 각종 전자부품을 ... ...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돌릴 수 있도록 따로 설계가 돼 있다. LBTS가 전체가 거대한 전자 회로라면 배전반은
정밀
한 보호장치인 셈이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 INTERVIEW [한국전기연구원 임근희 박사] “잠수함은 열어서 고칠 수 없다” 2월 27일 문을 연 전기선박 육상통합시험장(LBTS)은 ... ...
[오늘, 아리랑 3A호 발사] 대전 지상국과 오후 1시 4분 교신, 최종 성공
2015.03.26
열섬 효과나 산불 발생, 밤에 움직이는 구름 등을 관측할 수 있다. 기존 아리랑3호보다 더
정밀
한 해상도 0.55m급 전자광학카메라도 장착돼 지상에 서있는 사람의 대략적 모습도 확인이 가능하다. ... ...
[오늘, 아리랑 3A호 발사] 발사 성공 1차 확인…노르웨이 지상국 교신 성공(4보)
2015.03.26
열섬 효과나 산불 발생, 밤에 움직이는 구름 등을 관측할 수 있다. 기존 아리랑3호보다 더
정밀
한 해상도 0.55m급 전자광학카메라도 장착돼 지상에 서있는 사람의 대략적 모습도 확인이 가능하다.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