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스페셜
"
계속
"(으)로 총 2,450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료현장 요구 연구로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필요를 연구로 이어가야” “의사들이 환자를 진료하다가 필요성을 느낀 연구를
계속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해요.” 방 교수는 자신의 사례를 들며 의사들이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말한다. 국내 의료환경에선 의사들이 환자 진료에 대부분의 시간을 쏟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 ...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바이오비전 2016)’이 시행된지 3년째 되는 해다. 박 국장은 2016년까지
계속
될 이 계획에서 가장 중점 분야로 신약개발과 줄기세포, BT 인프라 구축 등 3가지를 꼽았다. 특히 줄기세포 연구는 난치병 치료의 가능성 때문에 국민적 관심이 크다. 박 국장은 “의학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자의 기술적 의욕과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한다. 뇌 일부가 손상돼도
계속
활동하는 사람의 뇌처럼 컴퓨터 일부가 고장 나도
계속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뇌 연구가 다른 분야와 융합하기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국이나 유럽, 일본처럼 일찍부터 뇌 연구를 시작했던 곳들도 1~3년 전부터 융합연구소를 ... ...
1억원짜리 독성시험 760만원에 해결...“효과적 지원이 신약사업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집중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그는 “기초과학자 입장에서는 큰 연구과제를 통해
계속
적인 지원이 이뤄지면 좋지만 다른 성격의 과제로 옮겼다고 해서 전혀 연계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정부 투자 시스템의 문제점”이라고 해석했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토론자들은 정부과제 평가시스템과 ...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벌어지는 생생한 소식을 전달하는 등 생명과학의 미래를 여는 여론 수렴활동도
계속
할 계획입니다. -에디터 주 ※ 동아사이언스는 현장의 과학자들이 전하는 과학계 이야기를 알기 쉽게 전해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독자와 과학기술계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생생하고 유익한 ... ...
반도체,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때문이다. 반도체의 집적도가 점점 높아지면서 반도체의 저장용량과 속도도
계속
증가한 한편, 내부 회로를 구성하는 구조물과 물질의 층도 점점 얇고 작아졌다.그런데 어느 수준 이상으로 얇아지자 전자들이 산화물 반도체를 그대로 통과하는 현상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가드레일이 제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뜻밖에도 냄새분자와 후각수용체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논란이
계속
되고 있다. 생화학 교과서를 보면 리간드(ligand, 수용체에 달라붙는 신호분자로 냄새분자도 리간드다)와 수용체 사이는 열쇠와 자물쇠의 관계로 비유되고 있다. 수용체의 구조에 딱 들어맞는 리간드가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퀄컴의 CDMA에 비해 불리한 점이 많았으나 표준기술이라는 데 힘입어 사용국이
계속
해서 늘어나고 있었다. 미국에서도 이동통신표준기술로 시분할다중접속방식(TDMA)을 채용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인 CDMA는 설 자리가 없어 보였다. 실제로 1990년대 초 퀄컴은 거의 기업이 유지되기도 어려울 정도로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당시에는 별 다른 반향이 없었다. 그러나 그 뒤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관련 데이터가
계속
쌓이면서 사람들은 점점 이 논문에 관심을 보이게 된다. 그리고 1990년 우즈 교수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안하는 논문을 ‘PNAS’에 제출하면서 큰 파장을 몰고 온다. ●격렬한 저항 뚫고 21세 들어 채택돼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한편 몇몇 과학자들은 뛰어난 항원인 헤마글루티닌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연구를
계속
했고 그 결과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즉 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의 몸에서 형성된 다양한 항체를 분석한 결과 이 가운데 일부가 헤마글루티닌에서 변이가 잘 일어나지 않는 부분을 항원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