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d라이브러리
"
가운데
"(으)로 총 4,256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
과학동아
l
200302
맞이한다.근래 들어 추운 겨울 바람과 함께 나타나는 목성은 이번에도 겨울밤하늘의 한
가운데
서 빛나고 있다. 올해는 2월 2일에 충을 맞이한다. 목성이 충의 위치에 있으면 태양의 정반대편에 있으므로 초저녁에 동쪽에서 떠오르고 새벽이 되면 서쪽하늘로 진다. 밤 12시에는 정남쪽에 위치하는데,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02
자랐을 일란성 쌍둥이와 21세기 서울에서 인터넷과 PC게임을 하고 자랄 복제 박찬호
가운데
누가 더 오늘날의 박찬호를 닮을지는 쉽게 짐작이 간다.물론 복제 박찬호는 박찬호 선수의 DNA를 가진 만큼 키와 몸무게 등의 체격에서 박찬호 선수와 비슷하겠지만, 결코 박찬호 선수와는 똑같지 않을 ... ...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02
피셔의 과학수사 지침서 ‘확실한 증거’(1996)에 따르면, 과학수사에 사용되는 기본원칙
가운데
하나는 어떤 물체가 눈으로 보이지 않을 때는 빛을 비추는 각도를 바꿈으로써 그것이 보이게 하라는 것이다. 거실 바닥이나 가구의 표면을 전등으로 비스듬히 비춰보라. 그러면 온갖 종류의 체모와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02
할지도 모른다. 트로이 소행성처럼 1:1 주기공명을 일으키며 궤도를 공유하는 소행성
가운데
행성과 가까운 거리를 두고 공전하는 종류는 특별히 ‘준위성’(quasi-satellite)이라 불린다.물론 전통적인 달과는 구별된다. 엄밀하게 말하면 기존의 달은 행성을 돌지만, 준위성은 행성이 아니라 태양을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02
주력산업이다. 세계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도권을 놓고 각국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기업들이 어떻게 활약하느냐에 따라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가 달려 있다. 짧은 수명과 대면적화의 한계 등 유기EL의 몇가지 단점을 극복한다면 반도체와 TFT-LCD에서 쌓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 ...
전통 속의 첨단보안시스템 비밀자물쇠
과학동아
l
200302
생각해보자.자물쇠 몸통 앞, 뒷면의 귀퉁이에 부착된 광두정이 시작이다. 두개의 광두정
가운데
하나를 잘 선택해 위로 살짝 밀면 잠금장치가 풀린다(1단계). 고삐가 몸통에서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잠금장치가 풀린 상태에서 줏대를 고삐방향으로 민다(2단계). 이렇게 하면 고삐가 1/4 ... ...
이라크 무기사찰에서 사용되는 불법무기 추적법
과학동아
l
200301
입구에 쌍곡선면 또는 타원면의 반사경을 설치하여 1백80˚ 꺾은 후 이 빛을 주포물면경의
가운데
에 있는 구멍을 통해 통의 뒤쪽으로 보냄으로써 그 곳에 설치된 접안경으로 상을 확대시키는 방식의 망원경이다 이 때 경통 입구에 평면경을 설치, 빛을 90˚ 꺾이게 하여 경통 옆에 붙어 있는 접안경으로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01
노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인의 위암·간암 세포로부터 3만여종의 유전자를 선택해 이
가운데
1천여종의 유전자가 위암·간암과 관련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위암·간암 관련 유전자를 모아 DNA진단칩을 만들면 번거로운 조직 검사 없이 정확하게 암을 진단할 수 있다. 곧 이와 관련된 1세대 ... ...
대마젤란은하에서 발견된 '양' 성운
과학동아
l
200301
것이다. 잘 보면 별무리 주변의 성운 역시 푸른빛으로 물들어 있다. 별무리에서 나온 빛
가운데
푸른빛이 주변 성운의 먼지에 의해 산란됐기 때문이다. 이런 성운을 반사성운이라 한다.이제 성운 N30B의 가장자리를 보자. 신화 속 양의 황금빛 대신 붉은 기운이 감돈다. 붉은색은 성단의 별빛과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01
사진처럼 붉게 보이지 않는다. 성운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성운을 이루는 성간가스
가운데
수소가스에서 나오는 붉은빛 때문이다. 하지만 성운이 전체적으로 어두울 뿐만 아니라 색깔을 구별하는 눈의 원추세포가 어두운 밤에는 둔해지기 때문에 사람의 눈은 성운의 색깔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