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4,3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03
이용하고 있다. 10년 넘게 음식물쓰레기 처리와 재활용 기술을 연구해온 서울산업대 환경
공학
과 배재근 교수는 “외국과 비교해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분야는 우리나라가 많이 앞서있는 상황”이라며 “과거에는 이물질을 선별하거나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는 과정에 문제가 많았지만 현재는 국내 ... ...
컴퓨터에 '자기 태풍' 있다
과학동아
l
200503
정보기록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길이 제시됐다.서울대 공대 재료
공학
부 김상국 교수팀은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 자성박막의 국소영역에서 원자들이 어떻게 스핀값을 갖는지를 이미지화하는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인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 1월 31일자의 표지 ... ...
6. 패션디자인 멋보다 기능
과학동아
l
200503
부분을 고정시켜 몸매를 고르게 유지하면서도 편하게 움직일 수 있는 다기능 옷은 인체
공학
기술과 패션 디자인이 잘 결합한 사례로 꼽을 수 있다.정보통신 기술을 옷에 직접 적용하는 사례도 있다. 어깨끈에 스피커와 볼륨조절장치를 붙인 가방이나 소매단추에 휴대전화나 MP3플레이어의 조작 ... ...
돈 잘 버는 사람이 최고
공학
자 박희재
과학동아
l
200503
갔고 자신은 더 이상 영국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졌기 때문이라는 이유였다.“그때 왜
공학
이 존재해야 하는지를 깨달았습니다. 내 기술을 시장이 필요로 하지 않으면 나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죠. 영국 대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도 학점이나 논문 수가 아니라 내 기술을 기업이 얼마나 ... ...
화상전화기 vs 음성전화기
과학동아
l
200503
말았다. 1978년 무렵에는 화상전화기를 보기 위해 뉴욕의 벨연구소를 방문해야만 했다.
공학
자들은 AT&T의 화상전화기가 시대를 너무 앞서 태어나 실패했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화상전화기가 실패한 것은 표면적으로 기술과 비용에서 일반 전화기를 능가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1970년 피츠버그에 ... ...
23세 이공계 박사 탄생
과학동아
l
200503
SK텔레콤 상무(29·여)가 세운 것으로 생후 24년 2개월이다. 정씨의 아버지는 KAIST 기계
공학
과 정명균 교수, 어머니는 대덕연구단지 내 바이오기업 ㈜본원라이프텍 홍순해 대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중·고교를 졸업한 그는 아버지의 권유로 KAIST에서 1년 간 공부했다. 2000년 다시 미국으로 가 ... ...
1. 디자인으로 기업이 산다
과학동아
l
200503
표현되곤 한다. 하지만 디자인 행위 뒤엔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치밀한 심리 분석과
공학
적 계산, 인문 사회적 지식이 꿈틀거리고 있다.디자이너와 기술자, 소비자 사이에 보이지 않는 소통의 끈을 낚아채는 영감 또한 필요하다. KAIST산업디자인과 남택진 교수는 “디자인이란 과학기술이 삶의 ... ...
4. 디자인은 배려다
과학동아
l
200503
트라이포드사가 고안한 새로운 방식의 필기도구.손전체로 쥘 수 있는 달걀형태로 인체
공학
적으로 디자인된 펜의 굴곡들은 적은 힘으로도 글씨를 쓸 수 있도록 고안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디자인이 기술을 리드한다 1. 디자인으로 기업이 산다 2. 디자인의 진화심리학 의자로 본 디자인 ... ...
암을 이겨 내는 유전자 고향곡 작곡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2
이렇게 유전자에 대해 공부를 하고 1987년 한국으로 돌아와 지금까지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에서 꾸준히 연구 활동을 하고 있지요.단장님은 앞으로 암의 조기발견을 위해 개발해 낸 진단칩이 더욱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에요. 또 유전자를 바탕으로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약도 개발해서 ... ...
효소 이용해 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02
칩을 만들면 소량의 시료로도 암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현재 생체분자
공학
연구실에는 박사후과정 1명, 박사과정 8명, 석사과정 6명 등 15명의 연구원들이 김 교수와 함께 단백질의 신비를 파헤치고 있다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