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01
유지된다. 외부에서 넣어준 산이나 염기 모두와 중화반응을 할 수 있어서 산성도가
일정
하게 유지되는 것을 완충 작용이라고 한다. 핏 속에 많이 녹아있는 인산수소이온(HP${O}_{4}$²-)과 인산이수소이온(H₂P${O}_{4}$-)도 이산화탄소와 함께 혈액의 완충 작용에 큰 도움이 된다.혈액의 완충능력은 매우 ... ...
밤하늘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199812
하게 된 것은 그 맥동이 매우 규칙적일 뿐 아니라 맥동주기와 별의 실제 밝기 사이에
일정
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주기-광도 관계’라 한다. 이러한 주기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면 세페이드 변광성의 변광주기만을 측정하면 절대등급을 알 수 있고, 이를 겉보기등급과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12
낮으므로 식량자립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유전자 조작 식품이 필요하다. 쌀의
일정
한 성분에 대해 알레르기를 나타내는 사람을 위해 그 성분이 없는 쌀을 유전자 조작으로 만들 수 있듯이 특정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을 위한 식품을 개발할 수 있다. 유전자 조작 식품을 개발하지 않으면 생명공학의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12
이러한 동면상태를 상당 시간 지속시키지는 못한다. 20℃ 이하의 저체온상태에서 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뇌와 심장, 간 등 인체의 주요 장기의 세포들이 손상되거나 죽어버리기 때 문이다. 서울중앙병원 서동만박사(흉부외과)에 따르면, 현재까지 20℃ 정도의 저체온수술에서 약 1 시간 정도가 안전한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12
꾼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겨울잠은 왜 잘까 - 에너지 소비 줄이는 길포유류는 체온을
일정
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몸집이 작은 동물들의 경우에 문제가 생긴 다. 작은 동물들은 큰 동물들보다 몸무게에 비해 신체 표면적이 넓어서 열을 더 쉽게 빼앗기기 때 문에 그만큼 더 많은 열을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12
압력조절 장치를 달아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압력밥솥 내부의 기체가 빠져나오 도록 해
일정
한 압력을 유지한다. 보통의 압력솥은 2기압 정도의 압력을 유지해 물의 끓는 점을 약 1백20℃까지 올린다. 이런 경우 높은 온도에서 물이 끓으므로 물과 함께 있는 식품 은 단시간 내에 익는다. 그럼으로써 ... ...
속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인터넷 고속 서비스
과학동아
l
199812
보내는 속도(상향)가 크게 다르다. 심한 경우 모뎀보다도 느리다. 이런 까닭에 송수신이
일정
하게 일어나는 기업이나 인터넷의 양방향 기능을 주로 사용한는 분야에는 적합하지 않고, 인터넷 검색을 위주로 하는 개인이나 중소기업에 적합하다. 현재 시범서비스되는 내용을 살펴보면 최대 ... ...
양자전기역학 요동하는 진공
과학동아
l
199812
). 이 진동자를 양자역학으로 기술하면 된다. 진동자의 양자역학적 에너지의 간격은
일정
하다. 그러므로 바닥상태를 0이라 두면 빛(진동자)의 에너지는 에너지간격의 정수배이며, 이 간격은 빛의 진동수에 비례한다. 이로부터 빛에 대한 새로운 그림이 나타난다.(그림2)를 보라. 빛은 진동자의 ... ...
젓갈
과학동아
l
199812
국물이 많이 생겨 맛이 떨어진다. 따라서 젓갈 을 많이 담그는 지역에서는 1년 내내
일정
한 온도가 유지되는 자연동굴을 젓갈의 숙성장소 로 이용한다. 식염에 절인 생선에서는 그 내장이나 몸에 들어 있는 프로테아제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와 내염성 미생물에 의해, 아미노산이나 핵산 등이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12
들면 잠이 준다"는 말이 있다. 그러나 나이가 들더라도 몸에 필요한 수면시간은 대체로
일정
하다. 단지 사람이 60대에 이르면 깊은 잠에 빠지는(비렘수면) 상태 가 줄어든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래서 잠을 푹 자지 못하고 자주 깨게 돼 낮에 조는 현상이 잦아 진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질까.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