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글쓰기 능력이 합격 가른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2012학년도 서울대 정시 논술전형이 1월 16일에 실시된다. 서울대는 논술 비중이 작년과 같은데다 올해는 쉬운 수능으로 고득점자가 많이 지원하기 때문에 논술이 ... 논제 2에서는 타이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유추하게 했다. 논제 3에서는 타이탄에 생명이 있을
가능성
을 추론하도록 했다 ... ...
퍼펙트 센스 - 모든 감각을 잃은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만류의 영장’이라는 지위와는 거리가 먼 원숭이보다 못한 하등한 동물로 전락하게 될
가능성
이 높다.상상해 보라. 앞도 보이지 않고 소리도 못 듣고 냄새도 못 맡으며 맛도 못 느낀다. 손을 더듬으면서 길을 걸을 수는 있겠지만 음식을 찾기도 쉽지 않고 찾은 것이 먹어도 되는 음식인지 구별할 수 ... ...
‘마피아’의 자원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자원개발과 이에 따른 환경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연구실이다. 향후 발전
가능성
이 무궁무진하다. 젊은 후배들과 해외 현장에서 함께 뛰는 모습을 그려본다 ... ...
IT기술을 즐기며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결론적으로 호기심에 이것저것 주물럭거리는 일을 좋아하는 사람이 세상을 바꿀
가능성
이 크다. 그렇다고 세상을 변화시키겠다는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다. 그저 좋아하는 IT기술을 만지작거리며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현하면 된다. 페이스북을 만든 마크 주커버그는 하버드 여학생 사진 중 누가 ... ...
Part 1. 털, 동물은 입고 인간은 벗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피부와 같다. 이 사실은 깃털이 파충류의 피부, 특히 갑옷 같은 비늘에서 진화했을
가능성
이 높다는 뜻이다. 넓고 평평하던 비늘이 세밀한 구조로 갈라지면서 깃털이 됐다. 목적도 처음에는 하늘을 나는 것이 아니었다. 포유류의 털처럼 온도를 유지하고 물에 젖지 않도록 몸을 덮는 역할을 했다 ... ...
과학영웅과 ‘미래 예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있다.이 책에 실린 아이디어는 이미 과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는 ‘과학적으로 실현
가능성
이 있는’ 분야도 있지만, 농담인지 진담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아이디어도 많다. 동물을 해부하지 않고도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연구할 수 있도록 개발한 투명 물고기나 얼음 속에 남아 있던 매머드의 털 ... ...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감정 로봇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교수팀의 생각입니다. 수십 년 후에는 언젠가 진짜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이 나타날 ‘
가능성
’은 충분하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이런 ‘인공뇌’가 완성되기를 마냥 기다리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당장 완벽한 인공지능이 태어나기 어렵다면, 불편한 진실에 기대더라도 ‘쓸만한’ 로봇을 계속 ... ...
서울대 정시? 이렇게 준비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걱정이었어요. 짧은 시간에 생물Ⅱ를 다 공부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험에 나올
가능성
이 큰 것을 골라서 봤어요. 아무래도 요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주제를 찾아봤죠. 예를 들면 작년에는 나로호 로켓 발사 같은 것이 있었죠. 또 전통적으로 논술문제를 내기 쉬운 유전 부분도 자세히 ... ...
수학 프로그램으로 실제 범죄를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발생한 지역에 또 다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
이 있는데, 범죄에서도 모방범죄가 뒤따를
가능성
이 높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지진이 일어날 곳을 예측하는 것처럼 범죄가 일어나는 빈도와그 종류에 대한 규칙을 찾아 공식화했다.모셜 교수는 예측 모델의 효과를 알아보려고 2004년부터 200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숫자의 좌우 대칭 놀이 11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쓰기에 좋지 않은 수가 된다. 또 소수라 하더라도 10보다 작으면 k(a-b)의 배수가 될
가능성
이 있기 때문에 역시 좋지 않다.하지만 k(a-b)가 11의 배수가 아니어도 오류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어떤 경우일까? 11이10보다 크다는 점에서 나오는 문제인데, a일 때 가중치를 곱한 합을 11로 나눈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