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한눈에 보는 포항 지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때문에 액상화 현상은 주의가 필요하지요. 보통 액상화 현상은 지하수의 깊이가 낮은 곳에서 잘 발생해요. 이번에 지진이 일어난 포항 북구 지역은 바다와 가깝기 때문에 내륙 지방에 비해 지하수의 양이 많고 깊이도 낮아서 액상화 현상이 일어날 확률이 높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3. 지진에 버티는 건물을 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6만 9000명 정도가 목숨을 잃을 거라고 예측됐답니다. 위험한 도시 20곳 중 10위 안에 드는 곳은 네팔, 터키, 인도, 에콰도르, 필리핀 등 대부분 중남미와 아시아 국가의 도시 였어요. 선진국들에 비해 건물이 약해서 지진을 버티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지요. 건물이 무너지면 많은 사망자와 ... ...
- [과학뉴스] 태양계 밖에서 온 소행성 첫 관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온 ‘성간 소행성’을 처음으로 관측했어요. 정식명칭은 ‘1I/2017 U1’으로, ‘아주 먼 곳에서 온 첫 메신저’를 뜻하는 ‘오우무아무아’라는 하와이어가 별칭으로 붙었답니다. 연구팀은 궤도를 분석해서 이 소행성이 태양계 밖에서 왔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보통 태양계 안에서 만들어진 ... ...
- Part 3. [드라큘라의 저주 3] 태양이 없어지면 빙하시대가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목성의 중력에 의해 목성 주변을 도는 위성이 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천체가 많은 곳을 지나면, 서로 충돌할 수도 있답니다. 식물부터 점차 사라져!태양이 사라지면 환한 낮은 없어지고 어두컴컴한 암흑 세상이 될 거예요. 밤을 환하게 밝혀 주던 달빛도 사라져요. 왜냐하면 달빛은 태양의 빛이 달에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들었답니다. 두루미가 오랫동안 사람과 함께 지낼 수 있기를 바라며 두루미가 활동하는 곳에 먹이를 놓아두었어요. 자연을 지키지 못하면, 결국 인간도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몸소 느낄 수 있었어요. 지구와 환경을 위해서 나와 같은 청소년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할 수 있는 보람찬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잠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위해 ‘헬로키티 아일랜드’로 갔어요. 헬로키티 집은 거실, 주방, 침실 등 모든 곳이 정말 예쁘게 꾸며져 있었어요. 제 방도 이렇게 꾸미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파티를 위한 케이크가 준비되자 헬로키티가 분홍색 원피스를 입고 나타났어요! 생일을 맞은 헬로키티를 위해 촛불을 켜고, 다 함께 ... ...
- Part 1. 기후변화를 막아라, 전세계의 약속!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길어졌기 때문이지요. 보고서에는 금세기 말 해수면 상승으로 10억 명 이상이 살던 곳을 떠나야 한다는 경고도 실렸어요. 실제로 세계 해안 도시들은 해수면 상승에 대비해 제방을 쌓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둥둥~ 물 위에 떠서 산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보지 못했던 다양한 드론을 직접 볼 수 있어서 무척 좋았다”며, “드론을 타고 이곳저곳을 날아다닐 수 있는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유니스트에서 드론을 주제로 정말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죠? 사람을 태우고 하늘을 날아다니거나 위험에 처한 조난자를 구하는 등 드론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의 방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소리가 들리는 곳에 모두 모이자 갑자기 ‘쿠구궁’ 하는 소리와 함께 친구들이 서있던 곳의 바닥이 천천히 올라가기 시작했어요. 바닥은 친구들이 비밀의 방 천장에 닿을 때 까지 계속 올라간 뒤 멈췄답니다. 시원이가 조심스럽게 천장에 손을 갖다 대자 다시 ‘쿠구궁’ 소리가 나면서 천장이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낳은 암개미들이 다른 곳으로 날아갔을 가능성도 있어요. 이미 결혼비행을 마치고 다른 곳에 자리를 잡았을 수 있거든요. 두 경우 모두 개미가 지하에 있어서 발견하지 못했다면 따뜻해지는 내년 봄에 다시 활동을 시작할 수도 있어요. 정부도 이런 위험성을 알고 있어요. 하지만 항구의 지하는 몇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