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켓 닮은 신발 뒤축의 비밀과학동아 l2000년 12호
- 아디프렌이다. 아식스 젤은 실리콘을 기본으로 한 소재로, 30mm 두께인 경우 10m 높이에서 생계란을 떨어뜨릴 때 깨지지 않을 정도라고 아식스 코리아측에서는 밝혔다. 단점은 고가 소재이기 때문에 많은 양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실제로 시판되는 제품의 경우 비닐 캡슐에 4mm 정도의 아식스 젤이 ... ...
- 3. 여신 아르테미스의 신전과학동아 l2000년 12호
- 현대인에게 위압감을 주는 그리스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의 길이가 69m, 폭 30m, 높이 10m 정도이며, 대리석 기둥을 58개 사용했다는 사실을 볼 때 이 신전이 얼마나 큰 규모인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신전의 자재는 가장 아름답고 순도 높은 백색 대리석만을 사용했으며, 중앙의 넓은 홀에 네방향으로 ... ...
- 4. 번개의 신 제우스 동상과학동아 l2000년 12호
- 여신상과 마찬가지로 크리세레환틴 방식으로 제작한 것이다. 13m나 되는 제우스상은 높이가 90cm, 길이 10m, 폭 6.65m 크기의 받침대 위에 올려져 있는 옥좌에 앉아 있는데 천장에 거의 맞닿을 정도였다. 제우스를 서있는 형태로 조각했다면 거의 18m나 달하는 거인이었다. 이와 같이 거대한 신상임에도 ...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과학동아 l2000년 12호
- 긴 단면의 대각선은 15쿠데(7.5m)가 된다. 이럴 경우 직각삼각형의 밑변이 10쿠데(5m)이고 높이는 √5가 된다. 이 15쿠데(7.5m)의 대각선은 긴 밑변과 긴 변 대각선이 3:4:5인 ‘직각삼각형’이 된다.현실의 위치가 밑변의 절반이 되는 곳에 있는 것도 이집트인들의 높은 기하학 수준을 보여준다.어느 정도 ... ...
- 과학마술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물체들을 띄울 수 있다. 바람의 힘이 강한 송풍기를 사용하면 1.5L 플라스틱 병도 공중에 높이 띄울 수 있다.뗄 수 없는 손수건손수건 두장을 겹쳐서 두 손가락으로 집어보자.이 상태에서 두 손수건의 양끝을 힘껏 잡아당기면 어떻게 될까.왜그럴까?엄지와 검지 두손가락만으로 잡고 있는 두 손수건의 ...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두 행성이 충의 위치에서 약간 시간이 더 지나서 밤 10시 반에서 11시경이면 남쪽하늘에 높이 걸린다. 밝기는 목성이 -2.9등급으로 단연 밝고 토성은 -0.4등급으로 목성에 비하면 어둡지만, 하늘이 밝은 도시지역의 밤하늘에서도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이같이 지구에서 볼 때 두 거대행성이 같은 방향에 ... ...
- 1. 공중에 솟은 정원과학동아 l2000년 12호
- 실제로 공중에 떠있는 것이 아니라 높이 솟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속된 계단식 테라스로 된 노대에 풀과 꽃, 수목을 심었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마치 삼림으로 뒤덮인 작은 산과 같다. 현대적 관점에서 보면 계단식 아파트의 발코니에 꽃과 커다란 나무들을 심은 것과 유사하다. 공중정원이 ... ...
- 6. 밤을 밝히는 30층 규모의 등대과학동아 l2000년 12호
- 796년에 3층 부분이 파괴되자 술탄 이븐 툴런이 돔식의 모스크를 세웠다. 956년의 지진으로 높이가 22m 정도 줄어 들었고, 1100년 또 다시 강력한 지진이 일어나 많은 부분이 손실됐다. 이때 파로스 등대의 유명한 반사경이 파괴됐다는 전설도 있다. 당시에 등대를 관리하던 아랍인들의 과학기술은 매우 ...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과학동아 l2000년 12호
- 쌓아올리는 과정이다. 서해대교의 주탑에는 자동으로 콘크리트를 부으면서 서서히 높이가 올라가는 슬립폼(slip form) 공법을 사용했다. 공법의 특성상 연중 24시간 쉬지 않고 연속작업이 이뤄지기 때문에 우천시나 혹한기에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시공중 주탑이 약간이라도 기울어진 채 건설되면 ... ...
- 2. 모솔왕의 대형무덤과학동아 l2000년 12호
- 할리카르나소스(현재 보드륌)에 건조된 무덤을 뜻한다. 가로·세로의 길이는 32×38m, 총 높이는 거의 50m로, 당시까지 세워진 무덤으로서는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제외하고 규모가 가장 컸다. 모솔왕의 생전에 착공돼 그가 죽은 뒤 왕비 아르테미스가 계속 진행했으며, 실제로 완성된 시기는 그녀가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