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상태를 관리한다! 자료구조수학동아 l2021년 12호
- 3x3 칸을 이차원 리스트 형태의 자료구조로 만들면 돼요. ‘O’ 또는 ‘X’가 추가될 때마다 자료구조의 값을 변경해야 하지요. 그리고 이차원 리스트의 자료구조를 3x3 칸의 값으로 읽어와서 승패를 판정해요. 사각형 그리드에서 동작하는 게임으로 ‘타워 디팬스 게임’이 있어요. 길 주변에 ...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 루프’를 시작했어요. 플라스틱을 만들 때부터 사용 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플라스틱 자원을 선순환하는 구조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지요. 이를 위해 일명 ‘5Re’ 모델을 만들어, 플라스틱을 줄이고(Reduce), 대체하고(Replace), 재설계하고(Redesign), ... ...
- [특집] 물고기를 살리려 바다로 뛰어든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Q한 배의 어획량을 모두 조사한다니, 쉽지 않겠는걸요.그렇습니다. 처음 배를 탔을 때는 멀미로 일주일 동안 음식을 못 먹고 고생하기도 했어요. 또한 어선의 일을 감시하는 직업이다 보니, 초기에는 어선에서 일하는 분들과 마찰이 발생하기도 했어요. 현재는 국제옵서버라는 직업이 많이 ... ...
- [기획]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키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년대 전까지 약 40세였던 인류의 수명은 거의 2배가 되었습니다. 오래된 장기가 고장 났을 때 장기를 교체할 수 있는 인공장기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인류의 수명은 한 번 더 획기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손▶인공장기 기술의 상용화는 인류의 건강 증진, 수명 연장에 기여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 ...
- 마이랩홈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부글부글 빵!빵! 실험으로 코로나19로 답답한 마음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거품이 가장 빠르고 높게 생긴 이유는 감자에 카탈라아제가 가장 많이 들어있기 때문이에요. 빠른 반응이 일어나며 산소가 거품을 많이 만들어낸 거랍니다. 따라서 이번 실험으로 감자, 당근, 무 순으로 카탈라아제가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답니다 ... ...
- [숫자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5.5cm 카멜레온, 살아있어 다행이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미쿤디 숲을 조사했을 때에는 카멜레온을 볼 수 있었어요. 하지만 2014년에 조사했을 때에는 카멜레온을 단 한 마리도 발견하지 못해 멸종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여겼어요. 그런데 연구팀이 다시 조사했더니 말라위 힐스와 그 근처에서 17마리, 미쿤디에서 32마리가 살고 있었어요. 연구팀의 ... ...
- [가상인터뷰] 수학자의 고백 “초등 수학 잘 못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나이에 아벨상을 받게 되어 뜻깊었어요.Q. 젊었을 때는 많이 아프셨다고 들었는데….20대 때부터 마음의 병을 30여 년 동안 앓았어요. 하지만 가족과 친구의 도움으로 병을 이겨냈고 다시 연구에 집중할 수 있었어요. 이런 제 이야기가 책과 영화로 만들어졌는데, 많은 분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기를 ... ...
- [특집] 2500년 만의 원조 논란, 우리가 먼저 알고 있었거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땅을 작게 나눌 때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수학을 공부할 때 가장 좋은 점은 언제나 깜짝 놀라게 된다는 점이에요. 익숙한 것들도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면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게 돼요. 저는 직각삼각형에 대해 모든 걸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바빌로니아 사람들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마침내 밝혀진 진실 “난 ‘해뿡’이 아니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인사가 담긴 선물이었습니다. 딱지는 자기도 모르게 빙그레 웃고 있었습니다. 그때 스피커로 해롱 선장의 목소리가 울려 퍼졌습니다. “딱지 어딨어? 빨리 조종실로 오도록. 출동이다!”딱지는 심호흡을 하며 일어섰습니다. 그리고 방을 가득 채운 선물 더미를 한 번 쓱 쳐다본 뒤 옷매무시를 ... ...
- [특집] 알쏭달쏭 무한 세계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봐요. ‘유한한 크기의 공간에는 유한한 수의 입자만 들어갈 수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이에요. 김항배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는 “시공간에 양자역학의 원리가 적용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만약 그렇다면 무한의 개념이 없다고 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