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하는 효소를 추출하는데 여념이 없다. 이 효소가 정제되면, 이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분리
되어 장미나무에 이식될 것이다. 이 유전자를 이식받은 장미나무는 파란 장미꽃을 피우게 될 것이다.뿐만아니라 파란 장미는 잘 시들지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칼젠 퍼시픽사는 꽃을 꺽었을 때 시들게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있는
분리
판을 자세히 살펴본 데서 나왔다. 즉 실험장치 안에다 기체
분리
판과 액체
분리
판을 설치, 유리파이프를 거꾸로 해도 흐르지 않게 고안한 것이다.물을 전기분해하는 장치는 기존의 것과 유사하다. 5%의 수산화나트륨(NaOH)용액에 직류전기를 걸러주면 산소(${O}_{2}$)와 수소(${H}_{2}$)가 생긴다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한다. 우리나라의 모든 원자로는 단지 전자생산에 이용되며 플루토늄을
분리
해내는 재처리시설은 없다.만약 북한이 핵폭탄 다섯개를 서울 부산 등 우리나라의 대도시에 떨어뜨리면 어떻게 될까. 아마도 수백만명이 죽고 하늘은 죽음의 재로 덮이며 방사능 오염 화재 강물오염 질병 등으로 인해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증폭관(트랜스폰더)의 전자총 노후화 등이 주요 요소다. 간혹 발사 직후 로켓에서
분리
된 위성체가 태양날개 또는 파라볼라(접시형)안테나들이 펼쳐지지 못한채 도는 처음부터 불구인 '소아마비형 위성'들도 탄생한다. 이런 경우의 위성은 기능은 수행하지 못하지만 연료가 충분해 우주를 계속 돌고 ... ...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coherent) 빛은 반투경(beam spliter)을 일부는 통과하고 나머지는 반사돼 두 광선으로
분리
된다. 나누어진 두 광선 중에서 하나는 기록하려는 물체에 직접 비추어 반사돼 나오는 빛(물체 파, object beam)을 만들고 다른 하나는 사진 건판 위에 직접 빛은 보내서 두 광파 사이의 간섭현상을 유도 한다. 이때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경우다. 히로시마에 투하된 우라늄탄은 포탄형(gun type) 반구형태의 우라늄이 양쪽으로
분리
된 상태로 있다가 결합하면 폭발) 원자폭탄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며, 지금의 핵무기에 비해 대단히 원시적인 핵폭탄이었다. 따라서 이 무기의 폭발력은 모의실험(시물레이션, 어떠한 현상을 수치적인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초대 됐다. 학자들 특유의 소아병적 고집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소수점을 문장의
분리
기호로 쓸 것인가의 문제로 격론이 벌어졌다. 위원장인 웨그슈타인의 중재로 그 문제는 뒤로 돌려진채 각자 방에서 분을 삭인 대표들은 다시 회의장으로 돌아와 회의를 진행했다.사소한 논쟁을 피하고 구조의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극단적인 우려까지 생겨났다.여러가지 반대에도 불구하고 89년 KAIST 학사부는 KIST와
분리
됐고, 과기대와 하나로 묶여 신(新) KAIST 시대를 열었다. 92년에는 구 과기대출신학생들이 최초로 박사과정에 진입하게된다. 난항 속에 전개된 대덕시대에 대한 자체 평가는 어떠한가.지난 9월30일자 과기대학보는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플루토늄을
분리
한 상태로 보관하다가 유사시 폭약을 터뜨려 순간적으로
분리
된 핵물질을 충돌시키면 곧바로 임계질량을 넘어서게 되고 그에 따라 연쇄반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엄청난 폭발이 일어난다.자연상태에서 우라늄 235는 약 0.7%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것을 농축해서 사용하면 되지만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 개발 되기도 했다. 특히 이들은 미세전극을 사용함으로써 여러 이온의 합성상태를
분리
해 칼슘(Ca)등 단일이온의 흐름을 파악했다는데서 독창성을 인정받고 있다.17일 스웨덴왕립과학아카데미가 발표한 물리학 화학분야의 수상자들은 모두 이미 상품으로 실용화돼 인류생활에 큰 기여를 하고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