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빅데이터 하나로 미래 도시 탈바꿈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hongsikjeong@tsinghua.edu ...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시민들의 도움이 꼭 필요해요! ◀ 제시 크리스티안센(미국항공우주국 외계행성연구부 연구원) Q시민들이 어떻게 외계행성을 찾나요?외계행성을 찾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는 두 개가 있어요. ‘행성 사냥꾼(Planet Hunter)’과 제가 참여하고 있는 ‘외계행성 탐험가(Exoplanet Explorer)’지요. 외계행성 ... ...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상 123층, 높이 555m의 마천루. 국내에서는 1번째, 세계에서는 5번째로 높은 초고층건물 롯데월드타워의 전망대로 가기 위해 엘리베이터에 올랐다. 엘리베이터가 분당 480m의 속도로 빠르게 위로 솟구치자 가슴이 두근거렸다. 어느새 도착한 123층에서 본 서울의 풍경은 지금까지 봤던 서울과는 사뭇 ... ...
-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대칭’인 형태로 설계하는 것이 좋다. 하태훈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건축연구팀 수석연구원은 “지진은 동서남북 어느 방향에서 닥쳐올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지진에 대비하려면 초고층건물을 ‘수평 방향으로 자른 평면(이하 ‘평면’으로 표기)’을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힘으로 버틸 수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점점 실현 가능해지는 것처럼, 이 또한 언젠가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 수석연구원은 “단순히 생각해 피라미드처럼 초고층건물을 만든다고 했을 때, 우주까지 쌓아올린 높이만큼 건물 밑면을 늘리면 가능할 수도 있을 것 같다”며, “지금과 같이 적절한 면적의 땅 위에 초고층건물을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하는 유일한 방법은 수학이다. 2017년, 벤자민 티펫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연구원은 시간을 도넛 모양으로 만들면 우주의 시간을 휘게 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SF 영화에서나 가능할 줄 알았던 시간 여행이 수학 세계의 기하학 구조 안에서는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가령, 시간을 ... ...
- [DJ CHO의 롤링수톤] 승리를 견인하는 떼창, 승리의 함성 20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있을까요? 엘리선 포레이 영국 요크대 연구원과 다니엘 뮬렌시펜 영국 골드스미스대 연구원은 발품을 팔아 떼창하기 좋은 곡을 찾았습니다. 영국 북부의 몇 군데 장소를 여러 번 방문해 사람들이 즐겨 떼창하는 노래를 관찰했지요. 따라서 실험 참가자는 매번 달랐고, 아무도 연구 내용을 모르는 ... ...
- [과학뉴스] 별 집어삼키는 초거대 블랙홀의 ‘트림’ 포착과학동아 l2018년 07호
- 1정도로 측정됐다. 연구에 참여한 미구엘 페레즈토레스 스페인 안달루시아천문연구소 연구원은 “29개 기관이 오랜 기간 공동연구를 통해 이룩한 성과”라며 “제트 현상을 관찰하면 수억만 년 전 은하가 생성된 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o466 ... ...
- [과학뉴스] ‘세레스’의 유기물, 의외로 풍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를 이끈 한나 카플란 미국 텍사스 주 사우스웨스트 연구소(SwRI) 연구원(전 브라운대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소행성 데이터를 더 잘 해석할 수 있게 됐다”며 “일본의 ‘하야부사 2’, NASA의 ‘오리시스-렉스’ 등 소행성 샘플 반환 임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 ...
- [과학뉴스] 묵은지는 왜 김치와 맛이 다를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맛을 내는 성분인 아세토인을 분해해 김치의 맛과 향을 바꾼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 연구원은 “웨이셀라 코리엔시스는 산성에 견딜 수 있어, 산도가 강한 묵은지에서도 왕성하게 활동해 김치의 맛을 좌우한다”고 설명했다. doi: 10.1016/j.fm.2018.04.00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