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슈퍼엘니뇨, 남극의 해빙을 없애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상승하면서 해빙은 덜 형성되고 대신 갈라져 나가는 유빙이 증가한 것이다.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월트 메이어 연구원은 “장기적 관점으로는 남극의 해빙면적이 다시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 ...
- 3D 프린터로 만든 제품, 독성 주의!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장난감, 우주선…, 세상에 못 만드는 것이 없는 기술로 각광받던 3D 프린팅 기술이 안전성 논란에 휩싸였다. 미국 UC리버사이드 윌리엄 그로버 교수팀은 STL(stereolithography) 방식과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으로 제작한 물건에서 독성이 검출됐다고 ‘환경 과학과 기술’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
- [Editor’s note] 끝과 시작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책’인 주역은 결코 완성이라는 일방향으로 향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굳이, 우주적 완성을 의미하는 괘 다음에 다시 모든 게 어긋난 상태를 두는 것일 테다.이번 호를 받은 독자는 제호 아래에 숨은 숫자를 한번 봐주시길 부탁드린다. 360. 한 해에 12번 나오는 잡지가 360호를 맞았다. 만 서른 ... ...
- [과학뉴스] 술과 설탕 내뿜는 혜성?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처음이다.프랑스 파리 천문대 산하 우주연구 및 천체 물리 계측 연구소(LESIA)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이 포함된 국제공동연구팀은 ‘러브조이 혜성(학명 C/2014 Q2)’의 대기를 분석했다. 러브조이는 작년 8월 호주의 아마추어 천문가 테리 러브조이가 발견한 혜성으로, 올해 1월 30일께 8000년 만에 태양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대학원 모든 학과의 중퇴·졸업 비율, 학위수여기간을 공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항공우주공학과는 2010년 박사과정에 8명이 입학해 2명이 1년 만에 그만뒀다. 1명은 5년 만에 졸업했고, 3명은 6년 만에 졸업했으며, 2명은 아직 학교를 다니고 있다.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이런 식으로 재학생·졸업생 ... ...
- 26년간 잠자던 블랙홀 활동 개시!과학동아 l2015년 12호
- nova)’으로 알려졌으나 이후에 신성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의 천문학자들은 백조자리 V404 주위를 6.5일 주기로 공전하는 별이 있는데, 블랙홀이 이 별의 가스를 빨아들이며 X선을 내뿜고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기술 전문 온라인 매체인 ... ...
- 반짝이는 점을 가진 왜소행성 세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보냈죠. 세레스의 표면을 관찰한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에요. 지난 달에도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돈(Dawn)’ 탐사선에서 찍은 세레스 표면 사진을 공개한 적이 있었답니다. 하지만 세레스와 탐사선 사이의 거리가 멀어 빛나는 부분이 흐릿하게 보였어요.그러던 중 지난 5월 9일, 돈 탐사선은 ... ...
- 진짜 우주 vs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다. NASA는 “유인 화성 탐사를 위해서도 이번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진짜 우주 사진은 A, D, E 3장이다. A는 아벨 1689 은하단, B는 박테리아와 효모 그리고 곰팡이, C는 박테리아와 버섯류 균종, D는 M27 아령 성운, E는 소마젤란 성운, F는 박테리아다 ... ...
- 우주비행사 비서 로봇 ‘아일라’ 개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프로그램을 이용해 사람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고 학습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국제우주정거장을 모방한 실험 공간에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연구진은 “아일라에 적용한 동작 방식은 다른 형태의 로봇을 만들 때도 그대로 쓸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는 가장 느린 빛의 속도는 초속 10만km 정도인 셈이다. 느려졌지만, 인류가 쏜 가장 빠른 우주선인 뉴호라이즌 호보다 여전히 500배 이상 빠른 속도다.빛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는 ‘양자(광)메모리’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이렇게 빠른 속도는 큰 골칫거리다. 전통적인 디지털처리방식은 0과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