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d라이브러리
"
일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시상하부에 형광염료를 넣고 망막을 조사했다. 그 결과 정말 망막 신경절세포 가운데
일부
가 형광을 띤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제 남은 건 이들이 빛을 받을 때 내는 신호를 검출하는것. 떨리는 심정으로 빛을 쪼여줬으나 세포는 반응이 없었다. 기대가 낭패감으로 바뀌는 순간 천천히 계기판의 ... ...
성격의 근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자신의 생각과 정반대로 행동하는 ‘반동형성’, 지킬박사와 하이드처럼 성격의
일부
가 의식의 지배를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성격처럼 행동하는 ‘해리 등이 있다.[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일본의 아사다 마오 선수(왼쪽)가 은메달을 수상하고 아쉬운 표정을 짓고 있다. 성숙한 방어기제를 ...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200W급의 유사정현파 인버터를 구매했다. ❹ ‘교통 신호에 관한 머피의 법칙 연구’ 중
일부
Ⅰ. 연구내용 이론집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에 영향을 주는 신호등은 총 3개다. 그 중 1개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간접적인 영향이 크다. 집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에 자꾸만 빨간 신호등에 ...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비소가 많은 외계 행성에도 생명체가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이 미생물은 ‘극한 환경에 적응한 미생물일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해요. 비소로 몸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몸 어딘가에 비소를 쌓아 놓았을 뿐이라는 거죠.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는 ... ...
Part 3. 수학과 과학은 서로 다르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문제에 대해서도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죠.조금 어려운가요? 대중들이 수학이 과학의
일부
라고 생각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 수학을의무적으로 배우는 초중고 과정에선 과학에서처럼 수학을 계산하는 도구로만 배우니까요. 엄밀한 증명이 요구되는 수학은 이해하기 어려워서 학교에선 ... ...
[수학클리닉] 수 체계 정확하게 이해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이 중에서 소수에 초점을 맞추죠. 중학교 2학년 때는 무한소수를 통해 무리수의
일부
를 배우고, 본격적으로 중학교 3학년 때 근호(루트)를 공부합니다. 중학교 3년 과정을 마치면 무리수까지 포함한 실수체계를 완성하게 됩니다. 아마 중학생들 중에는 ‘실수가 끝일까?’ 라는 궁금증을 가진 ... ...
수학교육 문제점, 생활수학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이미 7차 교육과정에서 전자계산기 사용을 권고해 교과서에 전자계산기 문제가
일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시험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물론 전자계산기는 고등학교 수학 평가에서 사용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수준인데다 파급 효과가 엄청나서 최종적인 결론까지 변수가 많다.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상수원으로부터 30m 이상 떨어진 곳에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장소 선택이 어려운 경우
일부
매몰지를 경사진 곳에 만들기도 했다. 이런 곳은 비가 많이 오면 물이 차면서 무게 때문에 흘러내릴 위험이 있다. 이를 막으려면 경사지 아래 부분에 옹벽을 설치해야 한다.다음으로 지하수가 오염됐을 때를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유전자를 찾는 과정에서 연구자들은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안테나페디아의 cDNA 의
일부
가 게놈에서 안테나페디아유전자가 있는 위치 뿐 아니라 다른 부분에도 달라붙었던 것. 즉 안테나페디아유전자의 특정 영역과 DNA 염기서열이 아주 비슷한 다른 유전자가 있음을 시사하는 발견이었다 ... ...
설렘과 슬픔이 공존하는 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아니다. 일단은 환절기의 변화를 받아들이려고 애쓰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도 자연의
일부
이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해야 한다. 변화는 환절기병의 원인이다. 좋든 싫든 우리가 받아들여야 하는 숙명인 것이다. 봄이 잔인한 이유도 그 때문이다. 하지만 그 변화로 인해 우리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