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물질을 측정할 거예요. 이를 통해 태양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죠.
현재
는 탐사선의 조립을 거의 마치고 점검을 하고 있어요. 그리고 나면 최종 발사예요. 여러분도 파커 솔라 프로브가 태양에 무사히 도착할 수 있게 응원해 주세요!# 파커 솔라 프로브와 만날 날이 ...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코로나의 온도가 높게 유지될 수 있는 거예요.서울대학교 천문학부 이정우 교수는 “
현재
과학자들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기보다는 두 이론이 모두 코로나의 높은 온도를 설명한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태양의 영역마다 더 우세한 원인이 다른데, 이를 관측하기 위해 탐사선을 보내는 것”이라고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새끼도 낳았어요. 하지만 심한 관절염과 폐암에 걸려 2003년 2월 14일, 안락사를 당했지요.
현재
돌리의 사체는 박제된 상태로 영국 스코틀랜드 국립박물관에 전시돼 있답니다 ... ...
[과학뉴스] 목성은 태양계의 맏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연구팀이 당시 원시 목성의 질량을 추정해 본 결과, 이미 지구 질량의 20배가 넘었답니다.
현재
목성의 질량은 지구의 약 318배이지요.연구를 이끈 토마스 크루이저 박사는 “태양계에서 첫 번째로 만들어진 원시 목성은 생성되고 300만 년 정도 지났을 때 지구 질량의 50배까지 커졌을 것”이라며,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인공 파도풀의 파도는 공기나 물을 밀어 보내 수영장 물에 움직임을 만드는 원리예요.
현재
대부분의 파도풀은 물로 파도를 만드는 ‘유압식’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요.파도풀 안쪽에는 물 수십 톤을 담을 수 있는 수조 여러 개가 있어요. 가득 찬 수조의 문이 열리면 300t이 넘는 물이 한꺼번에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그대로 맞으면 식물은 물론, 사람도 치명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따라서
현재
국제우주정거장에서는 우주에서 식물을 키우기 위해 인공조명을 이용하고 있어요. 그 중에서도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가장 좋아하는 붉은색과 푸른색 빛을 주로 쓰지요.앞으로 인류는 2030년에 화성에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엘리베이터를 탈 수 있어 고층 건물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자율주행 분야에서 사용되는 센서 중 라이더는 레이저가 유리를 통과하기 때문에 유리로 된 자동문 같은 투명한 장애물을 인지하지 못한다. 고카트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테레오 카메라와 3D 카메라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학습한 결과다. 윤 책임연구원은 “컴퓨터는 저장 공간이 무한하다는 특징이 있어
현재
딥미러가 외우는 얼굴 수는 제한이 없다”면서도 “저장된 얼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 닮은꼴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로 오히려 인식률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얼굴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열렸답니다.바이오블리츠는 생물다양성 보존에 큰 역할을 하고 있어요.
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물 가운데 존재나 이름이 알려진 종은 200만 여 종에 불과해요. 전문가들은 이 밖에도 수천만 종의 생물이 이름을 갖지 못한 채 어딘가에서 살고 있을 거라고 보고 있지요. 이들이 우리가 모르는 ... ...
[과학뉴스] 인명구조견용 ‘첨단 슈트’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탑재됐다. 슈트의 무게는 1.5kg이다. 구조대원들은 심전도 측정 결과를 통해 구조견의
현재
기분이 불쾌한지 등 구조에 투입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알 수 있다. 또 카메라와 GPS를 이용해 조난자의 상태와 위치를 본다. 연구진은 “구조견이 장시간 구조 활동에 참여하면 피로와 집중력 저하로 수색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