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7,735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11
주도권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져 있는 의·
약
학 분야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뇌단백질체 지도는 만드는 데 최소 5년 이상이 걸릴 예정이다. 뇌는 세포 하나하나가 모두 다른 유형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인체에서 가장 복잡한 기관이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릴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11
좋은 매개체다. 따라서 태풍이 많이 발생한 해에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력이 대체로
약
해져서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다. 반대로 태풍이 적게 발생하면 저위도 지역의 열에너지가 시베리아 기단까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차갑게 발달한 시베리아 기단에 의해 평년보다 추운 겨울 날씨가 될 수 ... ...
[지구과학] 지자기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11
지구의 자기장 자석이 쇠붙이나 다른 자석에 미치는 힘을 자기력이라고 한다. 자기력은 자석의 양끝으로 갈수록 강해지는데 이 부분을 자극이라고 한다. 자극에 ... 전기를 띠는 물질들의 운동이 멈추면 전류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지구 자기장도
약
화되거나 소멸될 수 있다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11
각각 단맛과 감칠맛 수용체의 일부였던 셈이다. 추가 연구결과 미뢰의 세포 가운데
약
30%에서 T1R3가 발현되고 그 중에서 일부는 T1R1이, 일부는 T1R2가 발현했다. 예상대로 한 세포에서 T1R1과 T1R2가 동시에 발현하지는 않았다. 단맛과 감칠맛 정보는 별도의 경로로 미각중추에 전달돼야 하기 때문이다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0
기울어지면 바퀴가 바로 닿으면서 넘어지지 않고 뒤로
약
간 이동하게 하는 거지. 그렇게
약
3㎝ 정도 의자가 뒤로 이동하면, 무게 중심이 앞으로 다시 오면서 의자가 바로 서게 돼. 일석이조 풀김중한 (경기 광일초등학교 6)딱풀 뚜껑을 잃어버리지 않는 방법은 없을까? 또 쓰는 도중에 풀이 묻으면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10
조기에 발견했거나 증상이 가볍다면 단기간 동안 항우울제나 항불안제, 자율신경계 조절
약
물로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오랫동안 지속되거나 상태가 심각할 경우 입원해 질환에 대한 치료 외에도 사회에 다시 적응하기 위한 재활치료와 인지행동치료 등을 받아야 한다.강력범죄가 날로 증가하면서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10
교수는 “탐욕스런 사람이 아무 처벌을 받지 않는 사회에서는 사람 사이의 거래나 계
약
이 성립될 수 없다”며 “인류가 공동생활을 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공동체의 규모가 커지면서 공정함에 대한 욕구는 더 강해졌을 것”이라고 말했다.실제로 집단 규모와 경제 시스템의 규모가 위와 같은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10
검은 개체들이 나타난 뒤, 점차 그 수가 증가했다. 1898년에는 후추나방 전체 개체수의
약
98%가 검은색을 띠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후추나방은 검정 색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딱 하나밖에 없다.영국 생물학자 버나드 케틀웰의 주장에 따르면 회색이었던 후추나방은 살아남기 위해 몸 색깔이 검어지는 ... ...
“비타민B가 치매 막는다”
과학동아
l
201010
비타민B는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양을 줄여준다.스미스 교수는 “비타민B를 고농축 알
약
형태로 일반 섭취량의 4~300배를 먹는게 좋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비타민B를 오랫동안 과다하게 먹을 때 어떤 부작용이 생기는지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며 “이에 대해 앞으로 연구할 예정”이라고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10
나온 결과도 중요해요. 특히 짝짓기 행동은 쓸모가 많죠.예를 들어 모기의 교미를 막는
약
을 만드는 데 이용할 수도 있어요. 모기는 교미를 해야 사람의 피를 빨아먹잖아요.”매일같이 실험실에서 만나서 그런지 김 교수는 인터뷰 내내 초파리에 대한 애틋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초파리를 “자식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