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d라이브러리
"
구조
"(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색칠게임 했더니 뇌지도가 쓱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색을 칠하듯 신경세포를 잇는 부분에 색을 칠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신경세포의 연결
구조
가 3차원 이미지로 만들어진다. 승 교수는 “인공지능보다 인간의 집단지성이 훨씬 낫기 때문에 이 게임을 만들었다”며 “3차원 뇌지도가 만들어지면 의사결정과 공포 등 정신활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할 수 있었다. 펄스폭이 작은 레이저-플라스마 가속기는 이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단백질
구조
를 순간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레이저-플라스마를 사용해 양성자를 가속해 암 부위에 쏘아주면 주위의 건강한 세포에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암만 집중적으로 죽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미 가속된 ...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것도 로보티즈다. 우리나라 팀 쿠도스의 로봇 쿠봇도 다윈op의 설계도를 기본으로 일부
구조
를 변경한 것이다. 이번 대회에서 로보티즈는 3명의 전문기술팀을 브라질 현지로 파견하기도 했다.한재권 로보티즈 수석연구원은 “브라질 로보컵은 열정적인 국가 분위기를 반영한 듯 개막식부터 들뜨고 ... ...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약물이 단백질의 특정 부분과 결합해 질병을 치료하기 때문에 단백질의 정확한 3차원
구조
를 알아야 한다. 그러나 몸 안에 있는 단백질을 밖으로 꺼내면 중력 때문에 엉뚱한 모양이 되거나 심지어 쉽게 깨져버리곤 한다. 우주의 무중력 환경이라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줄기세포는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그만큼 위압적이었을 것이다. 게다가 판옥선은 갑판 위에 갑판을 하나 더 올린 2층
구조
에 바닥이 평평한 평저선이라, 거친 풍랑을 만나면 균형을 잃고 전복될 위험도 있었다. 질적 우세로 수적 열세 극복그렇다면 명량해전 승리는 정말 하늘이 도운 결과였을까. 란체스터 제2법칙에는 전제조건이 ... ...
“집은 살기 좋은 작품”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실제 모습을 구현해 냈습니다. 또한 땅과 건축이 연속되는 일체형
구조
이기도 하지요. 이런 점에서는 굉장히 흥미로운 건물입니다.하지만 그곳에 원래 있었던 동대문 운동장과 야구장을 생각해보면 아쉬운 점도 있습니다. 100년 가까이 이어져왔던 이야기가 DDP에 어느 정도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덮개 위로 걸어 다니기 힘들기 때문에 불이 나도 군인들이 직접 불을 끄기가 어려운
구조
이지요. 따라서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불에 강한 철판을 씌웠을 거라고 전문가들은 추측하고 있답니다.둘째, 철판을 덮어도 부력과 복원력에 문제 없다.일본 교토대학교 사쿠라이 타케오 교수는 역사 속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다항식이 만들어내는 대수다양체이지요. 저는 대수다양체에 존재하는 ‘특이점’이라는
구조
가 전체적인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여기서 특이점은 쉽게 말해 뾰족하게 튀어나온 부분을 말해요.대수다양체를 연구하면서 1970년대에 제기된 뒤 그때까지 풀리지 않았던 ‘로타의 ... ...
[생활] Google 검색의 비밀은?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있는 정보 공간을 일컫는데, 페이지는 이를 거대한 그래프로 생각했다. 그래서 그 연결
구조
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학적 성질을 이용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 때문에 수학을 잘하는 브린에게 함께 연구하자고 제안했다.둘은 선형대수학★의 권위자인 진 골룹 교수에게 지도를 받아가며, 기존의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세계수(?)학자대회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세계 수학계는 학문과 과학 기술의 조류를 계속 반영하면서 진화해왔다. 정량적이고
구조
적인 세계관이 문화 속에 정착되면서 언젠가는 ‘세계수학자대회’가 ‘세계학자대회’와 구별되지 않는 날이 오지 않을까 상상해 보기도 한다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