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생체 에너지 공장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빨아들여 로봇 속에서 산화시켜 에너지를 만든다는 사실이다. 나노 크기로 매우 작은
시스템
이기 때문에 소량의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데, 현재 연료전지 기술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만약 인체 내에 존재하는 당분을 활용해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면 나노로봇을 질병 치료에 ... ...
날아다니는 과학상자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있다. 승객이 로비에서 가고자 하는 층의 버튼을 누르면 엘리베이터의 두뇌 격인 제어
시스템
이 수학적 알고리즘을 풀어 가장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보낸다. 이때 행선층이 같은 승객들이 함께 탈 수 있어 에너지도 절감된다.시간에 따른 교통량을 통계적으로 분석하면 엘리베이터를 더 ... ...
소유즈호 컴퓨터 처리속도는 5Hz?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벌어질 경우에는 선장이 직접 조종한다. 1985년 우주정거장 살류트 7호가 자동도킹
시스템
이 고장 났을 때 소유즈호에 타고 있던 블라드미르 쟈니베코프가 우주정거장에 수동으로 도킹하는데 성공한 적이 있다. 선장이 조종할 때 의자 아래쪽에 있는 2개의 조이스틱으로 모니터와 잠망경을 보며 ... ...
PART1 생로병사 마스터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노한 오웨릭스 박사팀은 포도주의 성분 가운데 하나인 레스베라트롤이 쥐의 에너지 생성
시스템
이 원활히 돌아가도록 보조하며, 이 성분을 섭취한 쥐가 건강하게 살고 있음을 밝혀 생명과학 학술지인 ‘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또 체중 1kg당 400mg의 레스베라트롤을 투여한 쥐의 지구력을 측정한 ... ...
PART1 올여름 최악의 무더위 올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선진국에서는 대기뿐만 아니라 해양과 지면, 해빙과 같은 전지구의 구성성분을 하나의
시스템
으로 묶어서 예측할 수 있는 ‘접합대순환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장기예보에 쏠리는뜨거운 관심만큼 적중률도 높아지려면 지금보다 더 많은 연구와 투자가 필요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명가의 숨은 명장 4人4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현장에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1991년 현대중공업에 입사했다. 그동안 자동용접
시스템
, 아크 용접 등 수많은 용접 기법이 그의 손끝에서 탄생했다. 그 중에서도 플라스마 자동 용접기법은 기존 용접에 비해 3배 이상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어서 프랑스 GTT사에 역수출되기도 했다. 그의 용접 ... ...
현실과 똑같은 가상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진정한 가상현실 서비스로 인정받고 있다. 여기에는 린든랩의 진일보한 철학과 독특한
시스템
이 큰 역할을 한다. 린든랩은 아이템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일반적인 상업 행위를 하지 않는다.가상공간에서 비즈니스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플랫폼인 토지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이용료만 ... ...
1등 조명LED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LED조명에 통신 신호를 추가해 조명과 통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가시광 통신 조명
시스템
’을 개발 중이다.LED조명이 절전형 형광등을 앞지를 수 있는 가장 큰 힘은 발전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이다. 작년만 해도 LED조명은 실내조명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LED조명이 형광등보다 어두웠기 ... ...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퇴적해 생긴 지형공간의 한 지점에서 자기장의 크기를 나타내는 국제단위컴퓨터
시스템
또는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또는 기법을 말한다 쉽게 말해 기기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환경을 뜻한다천구의 북극을 축으로 회전하며 천체를 추적하는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메가번개는 아직까지 전지구적 규모에서 관측된 적은 없다. ‘멤스(MEMS, 초미세 전자기계
시스템
)우주망원경 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박 교수는 인공위성을 띄워 우주에서 메가번개를 1년 이상 관측할 야심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내년 전반기에 메가번개 관측용 우주망원경을 탑재한 위성을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