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우리가 강한 질투를 느끼는 상대가 불행을 겪을 때 우리 뇌는 기쁨을 느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질투할수록 뇌는 아프고 또 기쁘다연구팀이 실험 참가자들에게 건넨 시나리오에는 실제로 있을 법한 우리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주인공을 제외한 등장인물 가운데 유일한 동성인 ‘최고야’ 씨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엄청난 크기의 후신경구(뇌에서 후각을 담당하는 부위)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다. 크기 비율로 따져 보면 1km 상공에서 냄새로 먹이를 찾는 칠면조독수리와 비슷했기 때문에, 티라노사우루스 또한 뛰어난 후각을 가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늑대와 같은 오늘날의 활동적인 맹수들은 뛰어난 후각을 ... ...
- 만화로 창의력 쑥쑥! 가족 사랑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어떻게 만드는지부터 만화를 어떻게 읽으면 좋을지, 만화가가 되는 비법 등을 모두 알 수 있었사옵니다. 먼저 만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 생각하시옵니까? 조재호 작가님께서는 만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이야기’라고 강조하셨답니다. 그림이 아무리 예쁘거나 멋있어도 이야기가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하지요. 이렇게 게임을 만드는 과정에는 많은 요소가 필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을 이용해서 만들어야 누구나 즐길 수 있겠죠?어떤 게임을 만들까?한 팀이 만든 게임은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장군이 포로를 구출하는 게임이었습니다. 장군이 포로를 구출해야 임무가 끝나는 ... ...
- 굿바이, 메신저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극 지방에 얼음이 있다는 것과, 지구처럼 수성의 내부가 철로 이루어졌다는 사실 등을 알 수 있게 됐답니다.유럽우주국(ESA)과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사라진 메신저호를 대신할 수성 탐사선 ‘베피콜롬보’를 만들고 있어요. 베피콜롬보는 2017년에 지구를 출발해 2024년 수성 궤도에 들어갈 ... ...
- [수학뉴스] 세계 나무의 반이 사라졌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아열대지방에는 약 1조 3900억 그루가, 아한대지방에는 약 7400억 그루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열대지방과 아열대지방에 나무가 더 빽빽하게 밀집돼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구팀은 원래대로라면 현재 약 5조 6000억 그루가 있어야 하지만, 인류가 나무를 베어 이용한 탓에 약2조 그루가 ...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만드는 것이다. 김 대표는 “이제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데 SW가 쓰이면서 기존에는 알 수 없었던 것을 측정하고 분석, 제어할 수 있게 됐다”며,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넓은 시야를 가지면 다른 영역에서 적합한 아이디어를 찾아 적용할 수도 있고, 내가 해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도 찾을 수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약 58%나 됐다. 청소년 시기에 스마트폰에 중독됐던 경험이 있다면, 성인이 되어서 알코올이나 게임에 중독될 확률이 높다는 뜻이다.김 박사는 “뇌는 이성적이면서 감성이 풍부한 덕분에 인류 문명을 발달시켰지만, 현실과 가상세계를 잘 구분하지 못한다”면서 “게임이나 스마트폰 같은 ... ...
- [생활] 내 손 안의 자산관리사, 핀테크수학동아 l2015년 09호
- ELS)’도 SW의 도움 없이는 도박이 되기 쉽다. 주식의 1년 뒤, 3년 뒤, 5년 뒤의 가격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곧 컴퓨터로 24시간 고객의 자산 관리를 해 주는 핀테크 자산운용사와 모든 거래가 SW를 통해 이뤄지는 인터넷전문은행도 탄생한다. 핀테크 자산운용사는 스마트폰, 타블렛 PC 같은 모바일 기기로 ... ...
- [Life & Tech] 여름이 추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동굴에 희귀생물도 많이 살고, 그걸로 치료약도 개발하고. 기후변화도 추적한다는 거 알았어? 앙?” 고소해진 소녀가 빙그레 웃으며 소년을 타이릅니다. “오구오구, 그랬쪄요? 잘했쪄요~.” “우씨!” 물에 녹았던 탄산칼슘이 다시 굳으면서 생긴 것이 바로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석순, 종유석, ... ...
이전2392402412422432442452462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