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함께 그려 보는 프랙탈 아트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리저리 굴리고 후후 불어본 경험이 있다면 이를 떠올려 보자. 프랙탈 아트가 바로 같은
원리
라고 한다. 도화지에 떨어진 물감은 어느 방향으로 흐를지,물감이 어느 굵기로 굴러갈지 그리는 사람도 예상할 수 없다. 프랙탈 아트도 마찬가지다. 작품을 작업하는 그날의 작가의 컨디션과 작업 시간 ... ...
분자에 숨어 있는 수학 법칙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있기 때문이다.나프탈렌을 이루는 탄소의 개수는 일일이 세어보지 않아도 ‘집합’의
원리
를 쓰면 금방 알 수 있다. 나프탈렌의 왼쪽 벤젠고리 탄소를 원소로 하는 집합을 A, 오른쪽 벤젠고리 탄소를 원소로 하는 집합을 B라고 하면 나프탈렌의 탄소 개수는 합집합의 원소 개수 n(A∪B)가 된다. 따라서 ... ...
국기로 떠나는 세계여행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세계 어떤 국기와도 다른 독창적인 무늬를 지녔다. 각 무늬는 수학적으로 명확한
원리
를 담고 있으면서도 복잡하지 않다.태극기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 무늬와 ‘건곤감리’라고 하는 4괘가 모서리에 자리 잡았다. 태극 무늬는 양을 나타내는 빨간색과 음을 나타내는 파란색으로 음양의 조화를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1979년 영국의 SF작가 아서 클라크의 소설 ‘낙원의 샘’을 통해서다. 우주엘리베이터의
원리
3만 6000km 상공까지 우주엘리베이터를 타고 오르내리려면 적잖은 에너지가 든다. 이런 에너지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우주에 있던 엘리베이터가 지상으로 내려올 때는 중력의 힘에 의해 저절로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전자기학과 핵융합 기초, 플라스마 산업공정, 양자역학을 통해 플라스마 물리현상의
원리
를 이해하고, 관련 장치의 개발 및 운용에 관한 폭넓은 지식을 갖춘다. 대학원에 가면 핵융합 및 플라스마 이론에 대한 심층적 교육을 받는다. 이를 바탕으로 플라스마원에 대한 장치 개발과 핵융합과 플라스마 ... ...
내 안에 또 다른 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프랙탈을 더 자세히 알게 된셈이지. 난 이것들을 기초로 다양한 분야에서 프랙탈의
원리
를 찾아내 마침내 1982년 ‘자연의 프랙탈 기하학’이라는 책을 출간하게 됐네. 자네가 태어나기 10년도 더 전의 일이군. 그때부터 사람들이 프랙탈을 조금씩 알아주기 시작했어. 수학과 컴퓨터의 만남이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가능성은 줄어든다. 하지만 그런 곳일수록 생명체가 있다면 그 모습이나 생화학적인
원리
는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을 것이다.‘미지와의 조우’에 어떻게 대응할까지난 4월 스티븐 호킹은 방송에서 “만약 외계인이 우리를 찾아온다면 유럽인이 아메리카 대륙에 진출했을 때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 ...
칭찬 보다 비난이 더 신경쓰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기분을 관리하는 방법이다.강한 물체에서 약한 물체로 에너지가 흐르는 엔트로피의
원리
에 따라 정신적 에너지도 자신의 내부에서 강력하게 작용하는 쪽으로 흐른다. 마찬가지로 자신의 에너지를 자아실현이나 자신의 영혼을 가다듬는 쪽으로 흐르게 하면 부정적인 사고로 흐르는 에너지를 조절할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EBS교재를 풀어보되, 개념이나
원리
를 평가하는 중간 난이도의 문항을 중심으로 연습하는 것이 좋다. 상위권의 경우 변별력 확보를 위한 고난도 문항은 기존의 문항을 피해 새로 출제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고난도 문항은 선택 교재의 폭을 넓혀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띠는 유전자를 가진 난자가 만들어진 것이다.이와 같이 우리가 알고 있는 피부색의 발생
원리
는 그리 단순하지 않으며, 아직도 많은 부분이 잘 알려지지 않은 분야다. 앞으로 게놈 정보가 많이 쌓이면 이러한 미스터리도 풀릴 것이다. 피부색 때문에 생기는 사회이슈도 사라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