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유전자를 보고, 정자의 변이 유전자를 교정했다고 착각했을 수 있다는 의미다. 박 연구
위
원은 “유전자 교정을 할 때 발생하는 결실은 대부분 염기 10~20쌍(베이스페어·bp) 정도”라며 “하지만 큰 결실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현재 큰 결실이 있었는지를 추가로 확인하는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독립적으로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브랜다이스대 팀과 치열한 경쟁 관계였다. 노벨상
위
원회가 공식 웹사이트에 공개한 인터뷰에서 영 교수는 “달리기 시합과도 같은 연구 경쟁을 통해 서로의 퍼즐조각을 맞춘 결과 분자시계 작동 모델을 확립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이들이 협력으로 완성한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봐도 무방합니다. 수정 뒤 첫 세포분열, 난자 속 RNA 덕분수정란은 배아로 발달하기
위
해 세포분열을 시작합니다. 그런데 이때 수정란 안에있는 DNA는 단백질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그럼에도 수정란이 어떻게 세포분열을 하고 생존할 수 있는지 의아해지죠? 비밀은 난자로부터 받은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몇 안 되는 전통 음식인 ‘푸틴’을 드셔보시기 바랍니다. 감자를 껍질째 썰어 튀기고 그
위
에 그레이비 소스와 응고된 치즈를 얹어 먹는 음식인데, 어마어마한 열량만큼 큰 힘을 내줍니다. 1950년대 퀘백 주에서 먹던 푸틴이 원조이지만 현재는 캐나다 어디서나 식당에 가면 쉽게 먹을 수 있습니다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
한 변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동물들은 포식자에게 모습을 숨겨 살아남기
위
해 주변 환경과 비슷한모습으로 진화했습니다. 혹은
위
협적으로 보이기
위
해 강한 동물로
위
장하기도 합니다. 심지어 포식자의 소리까지 흉내 내 ... 1. 기이한 술법 3가지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
한 ..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거뒀다. 스도쿠 그랑프리 결승전은 1월부터 8월까지 매달 온라인에서 대회를 치뤄 뽑힌 상
위
10명이 실력을 겨루는 것으로, 세계스도쿠선수권대회 일정 중에 치러진다. 2018년 2월 2~5일 우리나라에서 아시아 퍼즐선수권대회와 스도쿠선수권대회가 열린다. 곽 주장의 바람대로 이 대회를 통해 퍼즐을 ... ...
잇고! 끊고! 즐기고! 스
위
칭 게임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이어지는 걸 막다 보면 저절로 이길 수 있습니다. 비기는 경우가 없으니 한 사람이 변
위
의 정육각형을 잇지 못해 게임에서 지면 반드시 다른 사람이 이겨야 할 테니까요. 놀라운 사실은 헥스 정리가 존 내시에게 노벨 경제학상을 받게 한 일등공신이라는 점입니다. 내시는 헥스 정리와 부동점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올록볼록한 모양이 반복되는 신비한 파도를 본 적 있나요? 이 파도는 ‘해빈 커습(beach cusps)’이라는 현상이랍니다. 해빈 커습은 보통 ... 건 설명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요.이처럼 수많은 해양 과학자들이 이 문제를 풀기
위
해 도전했지만, 아직까지도 해빈 커습은 난제로 남아 있답니다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
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양에 비해 너무 적다는 이유로
위
석이 소화와 관련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지요. 과연
위
석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앞으로 밝혀질 새로운 연구 결과를 기대해 주세요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입력되는 산 속 기상 자료는 ‘산악기상관측망’을 통해 얻어요. 산악기상관측망은 산
위
의 기상을 측정하는 기기로, 전국 주요 산에 200개가 설치돼 있어요. 이 관측망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한 기상 자료들은 기상청 정보와 합쳐져 예측 프로그램으로 보내진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