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인체가 받는 장애 방사선을 받는 내장기관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다인간의 개체 또는
유전
과 관련하여 가장 큰 장애를 받는 내장기관을 결정적 내장기관 또는 줄여서 결정장기라 하며 방사선을 받는 상황, 인체에서 그 기관의 중요성,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에 따라 정해진다대부분의 경우 자유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있을 수 있다는 얘기다.쌍둥이 실험도 ‘표정
유전
자’의 존재를 뒷받침한다.
유전
정보가 동일한 일란성 쌍둥이는 이란성 쌍둥이에 비해 웃음이나 공포에 대한 얼굴 반응에서 훨씬 유사한 표정을 나타낸다.물론 표정이 형성되는데 후천적인 영향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가족은 표정 ... ...
어과동이 선정한 2006 최고의 과학발명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기술이 개발되었다. 고양이 특유의 냄새를 없애는 것. 미국 샌디에이고의 한 회사가
유전
자를 조작해 탄생시킨 고양이는 사람들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고 역한 냄새를 느끼게 하는 단백질 성분을 제거해 냄새가 나지 않는다. 가수로 데뷔한 로봇 에버투뮤즈2006년 10월 22일은 세계 최초로 로봇이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12월 29일을‘생물종 다양성 보존의 날’로 정했단다. 생물종 다양성 보존이란 다양한
유전
자와 다양한 생물, 다양한 생태계라는 세 가지 생명의 원천을 보존하자는 의미야. 지구는 인간들만의 것이 아니야. 다양한 생물들이 인간 때문에 멸종되는 슬픈 일이 없도록‘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이 계속 ... ...
건강한 이로 미소천사가 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많으면 이가 앞뒤로 밀리면서 삐뚤삐뚤해지겠죠?하지만 부정교합도 충치와 마찬가지로
유전
적인 이유보다는 환경과 습관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영구치가 나오기 전에 너무 일찍 젖니가 썩거나 빠진 경우에는 이가 나올 공간이 좁아져 부정교합이 생겨요. 또 충치로 이가 썩어 ...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못한 기형아들이 태어나자 겁에 질린 사람들은 극심했던 식량난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유전
자 조작 농산물을 의심했다. 아직도 돌연변이의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우리 같은 환경 마을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구입자로 돌아섰다.언덕 위로 동그랗게 솟아오른 ... ...
살은 왜 찌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엄마 아빠가 모두 비만이면 자식도 비만일 확률이 80%나 됩니다. 쉽게 뚱뚱해지는 체질이
유전
되기도 하지만 살찌는 생활 습관이 자식에게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이기도 합니다.컴퓨터와 TV컴퓨터를 하거나 TV를 볼 때는 가만히 앉아 있어요. 이렇게 가만히 앉아 있으면 몸은 에너지를 적게 씁니다.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일란성 쌍둥이와 서로 닮지 않은 이란성 쌍둥이가 있어요. 서로 똑같이 생긴 쌍둥이는
유전
자까지도 똑같답니다. 나와 똑같이 생긴 누군가가 있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요?정말 재미있을 것 같아요.몸에 두 개, 우리도 두 개귀가 두 개라서 이어폰도 귀고리도 귀마개도 두 개여야 해요. 눈이 두 개라서 ...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이빨을 가진, 뛰어난 보호색을 지닌, 강력한 독을 가진 다섯 동물을 찾아 내 이들의
유전
자를 바꾸어 지구를 구하려 한다. 시간이 없다. 빨리 다섯 동물을 찾아 내지 못하면 지구는 외계인들에게 점령당하고 말 것이다. 친구들도 다섯 동물들을 찾으러 서둘러 떠나자.가장 빠른 어과동 스피드빨간 ... ...
서양귀신 VS 동양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산소를 잘 공급하도록 도와 주는 ‘포르피’이라는 단백질 고리에 이상이 생기는
유전
병입니다. 그런데 이 병에 걸리면 우리가 알고 있는 흡혈귀의 모습이 나타나지요.1. 햇빛을 싫어한다 : 헤모글로빈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해 항상 빈혈에 시달려 얼굴이 창백하다. 망가진 포르피린 고리는 피부 밑에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