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렁이가 지구온난화 주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인간
이 만드는 온실가스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혀왔지요. 그런데 새로운 공범이 나타났어요. 놀랍게도 그 주인공은 바다에 사는 약 1㎝ 크기의 작은 지렁이랍니다.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 앤드류 서버 박사팀은 심해에 사는 큰 사슴갯지렁이가 바다 속의 메탄농도를 올린다는 사실을 ... ...
끊임없이 소원 비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아주 작은 암석이나 먼지랍니다. 유성이 타고 남은 돌인 ‘운석’도 대부분 바다나
인간
이 살지 않은 곳에 떨어지기 때문에 괜찮아요. 윽, 이야기 나누는 사이에 유성우 쇼가 모두 끝나 버렸어. 아직 지지지 밖에 못 했는데!유성우는 거의 매달 있어요. 특히 혜성 궤도를 지나는 7~8월에 집중돼 ... ...
탐나는 멋진 점퍼, 북극곰 뇌에는 ‘극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아웃도어용 점퍼가 청소년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지요?그런데 이런 점퍼에 포함된 화학성분이 북극곰의 뇌에 무서운 영향을 끼칠 수 ... 뇌조직에 고스란히 쌓여 있었지요.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북극곰뿐만 아니라
인간
의 뇌에도 발암물질이 쌓일 수 있다는 의미라고 경고했어요 ... ...
류현진 강속구 비결은 인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4호
사실을 알아냈어요. 긴 창이나 돌을 멀리까지 던지면서 근육이 발달한 거지요.
인간
은 물체를 던지기 위해 팔을 뒤쪽으로 젖힐 때 어깨 근육에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물체를 던지는 순간 에너지를 한꺼번에 방출해요. 이 덕분에 앞으로 길게 뻗은 팔에 가속도가 붙어 물체가 빠르게 날아갈 수 있지요.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다이슨 나무가 광합성을 통해 석유나 알코올을 생산한다면 미래에는 태양계 밖으로
인간
을 보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우주 거주지라그랑주점에 띄워진 물체는 다른 천체들과 중력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어떤 쪽으로도 끌려가지 않고 안정된다. 따라서 라그랑주점은 우주 거주지나 먼 우주로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다른 생물이 함께 살고 있는 지구의 환경을 보호하고 가꾸는 일은 아닐까요.한 사람의
인간
이 할 수 있는 일은 극히 미미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경험이 있습니다. 미지의 대륙을 향해 폭발적으로 번져나갔고 정교한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셀 수 없이 다양한 모습으로 진화했습니다. 다채로운 그 ... ...
개의 기원은 아시아가 아니라 유럽?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또 연구진은 분석에 쓰인 고대 화석 18종 모두 1만 8000년 이전의 것들인 점을 들어 늑대가
인간
에게 길들여지기 시작한 시점이 최소 1만8000~3만 년 전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시기는 유럽 사람들이 농사가 아닌 수렵과 채집으로 생활을 영위하던 때다.연구진은 “늑대가 사람들과 함께 사냥을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두 대의 거대한 우주선이라고 부를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단순히 우주선 육체를 가진
인간
이 아니다. 우리는 정신부터 육체에 이르기까지 스스로를 복제하면서 동시에 개조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우리는 진화선(進化線)을 직접 만들어 나아갔다. 따라서 나는 주리의 아버지가 아니라 조상이다. ... ...
[Knowledge] 독수리 먹이는 몇 종류일까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철학하기’라는 책이 출판될 만큼 심오 한 철학이 담긴 영화로 평가받기도 한다.
인간
들은 감시와 지배를 당하는 가상현실을 실제로 생 각하고 살아가는데, 매트릭스는 그 가상공간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행렬을 이용하면 한 벡터공간을 다른 벡터공간에 대응시킬 수 있어서 영화에서 ... ...
MIN TALK9 금사빠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저자는 단숨에 사랑에 빠지는 사람은 사기의 함정에 빠질 위험성도 높다고 지적합니다.
인간
은여전히 1만 년 전의 뇌와 감각으로 단 몇 초 만에 상대를 ‘스캔’한 다음, 잠재적 짝짓기의 대상인지 결정하게 되는데 이 과정이 너무 빠를 경우 사기꾼에 당하기 쉽다는 것입니다. 저자들의 견해가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