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태양을 둘러싸고 빛나는 플라스마 대기)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크기가 대략 80~160nm 정도 되는 RNA형 바이러스다. 사스(SARS) 바이러스도 여기에 속한다. 사스와 메르스는 원인 바이러스의 계통이 가까울 뿐만 아니라, 집단 감염의 시작과 유행과정 등이 여러모로 많이 비슷한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g/cm3 등을 사용한다. 밀도는 물질마다 각기 다른 물질의고유 값이다.일반적으로 밀도의 크기는 고체>액체>기체의 순이다. 그러나 물은 다르다. 액체 상태일 때 밀도가 가장 크고 오히려 고체인 얼음이 되면 밀도가 낮아진다. 물이 얼면서 물분자가 육각구조를 만들어 빈 공간이 생기는데, 그 결과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수 있다. 하지만 에어로졸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에어로졸로 감염되기란 쉽지 않다. 크기가 작은 만큼 그 안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양도 적을뿐더러 환기구를 통해 바이러스가 살 수 없는 외부 환경으로 빠져 나간다. 공기 전파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증폭시켰던 평택성모병원의 경우는 예외사례다.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한 연구원은 직접 휴보팀을 찾아와 “우리 로봇은 너무 크고 무겁기만 한데 휴보는 크기도 적당하고 강력해서 좋다”면서 휴보와 기념사진을 찍고 갔다. 일본이나 미국 전문가들도 “이젠 한국도 강력한 경쟁상대”라는 말을 공공연하게 했다.로봇기술 혁신 이뤄낸 대회“지금 농담하는 것 아니야?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강한 빛을 쏴도 그 지점 외에는 따로 손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살아있는 세포에 200nm 크기의 작은 구멍을 뚫을 수 있을 정도입니다. 이렇게 되면 세포를 죽이지 않고 수술을 할 수 있죠. 머지않은 미래엔 몸속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할 때도 펨토초 레이저를 활용할 겁니다. 펨토초 레이저는 다양한 ...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통과할 수 있는 입자의 최대 크기는 500Da(달톤, 1달톤은 수소 원자 1개의 무게로 단백질의 크기를 표현할 때 이용됨.)정도다. 6.2kDa인 EGF는 피부를 통과하기엔 턱없이 큰 물질이다. 심동섭 이노진 대표이사는 “각질층을 통과한다는 건 불가능하다”며 “각질층으로 단백질 같은 큰 물질이 통과한다면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곳입니다. 12시간에 한 번씩, 챔버별로 한 마리씩 꺼내서 끓는 물에 담가요. 구더기 크기라는 게 워낙 들쭉날쭉해서 살아있으면 제대로 측정하기 어렵거든요.” 성장속도 그래프를 만들려면 한 종을 최소 다섯 개 온도대(20℃, 24℃, 28℃, 32℃, 35℃)에서 각각 한 달씩 관찰해야 한다. 신뢰도를 높이기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상태의 W가, 정확히 같은 유리조각들이 예쁘게 모여 컵을 이루고 있는 상태의 W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거시적인 세계에서는 컵이 깨지는 방향의 변화만 관찰된다. 엔로피 증가의 법칙이라고도 불리는 열역학 제2 법칙은 결국 “일어날 가능성이 큰 일은 일어나기 마련이다”로 바꿔 부를 수 있다. ...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지오데식 돔을 접하게 해 주고 싶었던 학생들은 좀 더 저렴한 빨대를 쓰기로 했다. 크기도 확 줄여 일반 빨대 하나를 둘로 잘라 손수 키트 250개를 만들었다. 이를 위해 동아리 부원 7명이서 18,000개 정도의 빨대를 직접 잘라야 했다.“사람들이 지오데식 돔을 구경할 뿐만 아니라, 직접 작은 모형으로 ...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일반 온실에서 자란 오이와 비교했다. 그 결과 인공번개를 맞은 온실에서 자란 오이는 크기나 색깔, 맛은 일반 오이와 똑같았지만, 열매를 약 16%나 더 많이 맺었다. 연구팀은 번개 한 방이 칠 때마다 햇빛을 일주일 동안 받는 것과 맞먹는 에너지를 잎이 축적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리고 농사에 ... ...
이전2392402412422432442452462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