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972건 검색되었습니다.
단층 미확인 전북 내륙서 최강 지진…"언제·어디든 판 내 지진 가능성"
2024.06.12
일어난 지역은 지표에 드러난 큰 단층은 없었다"고 말했다. 김근영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지질연) 지진상황대응팀장도 "지진이 발생한 지역에 뚜렷하게 드러나는 구조선이 없고 주거지가 곳곳에 많아 지질조사 자체가 크게 이뤄진 곳은 아니다"라면서 "현재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꾸려진 조사단이 ... ...
[과기원NOW] DGIST, 뇌 속 세포들 간 소통방법을 집대성한 종설 논문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교수와 황동규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박사후
연구원
연구팀이 바이오프린팅과 조직 조립 기술을 결합해 복잡한 좌심실 근육의 섬유 구조를 정확하게 재현한 모델을 제작했다고 11일 밝혔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와 수행 중인 인공지능(AI) ... ...
과한 당류 섭취 줄이는 '설탕세', 아동 천식 환자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사실을 확인했다는 의미가 있다. 니나 로저스 영국 케임브리지대 대사과학연구소
연구원
이 이끄는 연구팀은 2018년 청량음료 산업 부담금 제도를 시행한 이후 소아천식으로 입원하는 환자가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를 1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영국 정부는 단당류가 함유된 ... ...
ETRI, CDMA 상용화 공로로 IEEE 마일스톤 등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11일 열린 IEEE 마일스톤 등재 기념식에 ETRI는 CDMA 기술 개발에 참여했던 전·현직
연구원
을 초청했다. 방승찬 ETRI 원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양승택 전 정보통신부 장관과 박항구 소암시스텔 회장의 축사, 한영남 KAIST 교수의 CDMA 개발 역사 소개 등의 프로그램이 이어졌다. ETRI 7동 명예의 전당에 ... ...
희귀 소아암 치료 방사성의약품 원료, 국내 첫 GMP 허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표준화 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으로 지난 3년간 노력해 결실을 맺은 것이다. 향후
연구원
은 KAERI 요오드화나트륨(I-131)액을 국내 방사성 완제의약품을 제조하고 가공하는 업체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이번에 GMP 적합 판정을 받은 원료의약품 제조 시설 및 인프라를 활용해 수입 의존도가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상온 양자컴퓨터' 개발의 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양승모 KRISS 양자자기센싱그룹 선임
연구원
은 "최근 인공지능(AI)의 발전과 함께 전력 수요가 폭증하며 초저전력 반도체 소자의 필요성이 커지는 추세"라며 "스커미온 제어 기술을 응용하면 차세대 AI 반도체 소자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코끼리도 사람처럼 서로 '이름' 부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연구를 내놨다. 마이클 파르도 미국 콜로라도주립대 어류, 야생동물 및 보존생물학과
연구원
팀은 아프리카에 사는 야생 코끼리들이 내는 소리를 분석해 서로를 이름으로 부른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태학&진화'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약 4년에 걸쳐 ... ...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화산 꼭대기에도 '서리' 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탐사 등에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연구를 이끈 발란티나스
연구원
은 "우리가 발견한 것은 화성에 남은 고대 기후의 흔적일 가능성이 있다"며 "과거 화성 화산 지역에 눈이 내렸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 ...
영하 80도 버티는 섬유형 태양전지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이다. 자발적으로 열을 내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송 책임
연구원
은 “하이브리드 바이오 나노구조체를 활용하면 전자소자의 성능과 안정성을 함께 증가시킬 수 있다”라며 “향후 에너지 생산 및 저장 소재뿐만 아니라 센서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 ...
선박용 암모니아 엔진 연소 기술 국내 최초 실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동시에 줄여 불완전 연소의 문제를 해결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박철웅 책임
연구원
은 “선박용 MW급 LNG-암모니아 혼소 엔진 연소 기술은 선박용 엔진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에 대한 규제를 만족하고 미래 조선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독자적인 기술”이라며 “선박용 엔진은 물론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