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곰팡이 이기는 식물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동물과 달리 주변에서 공격을 받아도 물리치거나 도망가지 못한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식물이 외부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연구해 왔다. 최근 국내 과학자들이 배추와 유채 같은 배추과 식물이 곰팡이에 대해 어떻게 대항하는지 구체적인 원리를 찾아냈다.이영숙 포스텍 생명과학과 ... ...
- [과학뉴스] 태양, 너도 평범한 별이었구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했다.그 결과, 태양의 자기장 주기도 다른 항성과 마찬가지로 회전 속도와 광도 두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태양을 비롯한 모든 항성의 자기장 주기는 회전 유체에서 전향력에 대한 관성력의 비를 나타내는 ‘로스비 수’에 반비례했다.스트루가렉 연구원은 AFP와의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있다”며 “내년쯤에는 관련 법안을 입법 제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 가지 문제점이 더 있다. 비트코인의 경우 참여자 모두의 컴퓨터에 거래 장부를 저장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형식이라 비용 부담이 너무 크다. 암호화돼 있기는 하지만 자신의 정보가 공개된다는 것에 거부감을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지식도 만들게 됩니다.2. ‘7730’ 반복 전략강렬한 기억, 중요한 기억 그리고 반복. 이 세 가지가 장기기억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공부한 내용이 매우 인상적이었거나 아주 중요했다면 단번에 장기기억이 될 수도 있겠죠. 하지만 공부한 내용은 이렇게 저장 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중요한 것이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이뤄진 1세대 인공지능이 개발 뒤 오래지 않아 실패로 끝난 역사가 이를 반증한다.한 가지 더. ‘우연의 설계’가 매력적인 통찰을 이끌어낸 비결은 저자들의 실력 덕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먼저 우연이라는 하나의 키워드에 대해 여럿이 다양한 이야기를 하게 한 기획 덕분이다. 그러니까 우연히 이 ... ...
- 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거야.성준 그걸 어떻게 알아? 혈흔이 나왔어?진원 아니, DNA의 흔적이 남았지. DNA의 흔적을 가지고 범죄 현장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알 수 있어. X의 것으로 보이는 바지 밑단에서 민정 씨 것으로 추정되는 DNA가 엄청 묻어 나왔어.성준 (발끈하며) 그냥 세탁물을 개다가 묻었을 수도 있잖아. 그게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묻어있는 증거물을 잘라내 혈청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혈액인지 정액인지를 한 번에 한 가지씩 확인해야 했다. 시료가 매우 적은 양이거나 질액, 생리혈 등 혈청학적 분석 방법이 없는 체액인 경우, 시료가 어디에서 유래했는지를 알 수 없었다. 성폭행 사건의 경우, 피해자 여성의 질 내용물에서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통해 만들었어요. 이 실험은 사람의 시각을 기준으로 R(빨강), G(초록), B(파랑) 세 가지 색만 있으면 모든 색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해요. CIE는 영국인 17명을 대상으로 R, G, B를 조합해 나온 색과 자연에 존재하는 색이 언제 같게 보이는지 데이터를 모았습니다. 그 결과 색을 X, Y, Z라는 세 ... ...
- Intro. 수학으로 그린 꿈의 도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레미 라우프와 물리학자 마크 바르텔레미는 도로망을 분석해 세계의 도시 131곳을 4가지로 나눴습니다.연구팀이 도시를 나눈 기준은 도로를 경계로 생기는 블록의 모양과 크기입니다. 아래처럼 간단한 분수식으로 도시의 모양을 분석했어요.블록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원은 항상 블록보다 클 테니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GAT, CAT, ACG처럼 배열을 이룹니다. 4가지 염기 중 3개를 늘어놓는 경우의 수는 43이니 모두 64가지를 만들 수 있는 것이지요. 그리고 DNA 가닥의 염기 배열 순서가 바로 유전 정보가 됩니다.이때 염기를 순서대로 나열해 놓은 것을 염기서열이라고 합니다. 아무렇게나 뽑은 두 사람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해 ... ...
이전2402412422432442452462472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