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하고 있다!그뿐 아니다. 과학자들은 특이한 눈을 가진 파콥스(Phacops)와 그 친척 삼엽충에
대해
활발히 연구하면서 또 한번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렌즈들이 보통 겹눈처럼 다닥다닥 붙어 있지 않고 띄엄띄엄 떨어져 있었다(아래 두번째 그림). 대신 수정체 하나가 아주 큰 볼록렌즈처럼 생겼는데,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수학 저술가 모리스 클라인이 쓴 책인데, 수학이 왜 철학과 함께 논의돼야 하는지에
대해
쓴 책이다. 박 실장은 “수학과 철학을 동시에 이야기하는 책인 만큼 수학과 철학을 잘 알면서 번역 능력까지 있는 사람을 찾는 것이 어려웠다”고 말한다. 번역된 원고도 어려워 교정과 편집에 어려움도 ... ...
❹ 힉스입자 - 수학적 대칭이 깨지면 질량이 생겨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매료시킨 특별한 점이 있었습니다. 바로 ‘대칭성’입니다.대칭성이란 어떤 조작에
대해
변화가 없는 성질을 말합니다. 사람 몸의 외형은 대략 좌우대칭입니다. 좌우를 바꿔도 큰 차이가 없지요. 공은 대칭성이 매우 높아서 어느 방향으로 굴려보아도 항상 똑같은 모습입니다.대칭은 아름다울 뿐 ... ...
‘깜지’ ‘빽빽이’ 성적에 도움 안돼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무늬를 바꾸는 식이었다.실험 결과 그림을 세 번 본 경우가 한 번 본 경우보다 그림에
대해
더 잘 기억하고 있었다. 하지만 세부를 바꾼 그림을 찾는 두 번째 실험에서는 오히려 세 번 본 경우 더 많이 틀렸다. 야싸 교수팀은 그 이유를 ‘잔상의 경쟁이론’에서 찾았다. 장기적인 기억에서 중요한 ... ...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사람들에게, 또 어디에 있을 누군가에게 당분간 행동을 멈추고 지금 일어나는 사건에
대해
각자의 방법으로 감사를 해 주었으면 합니다.”1969년 아폴로 11호를 타고 닐 암스트롱과 함께 인류로는 처음으로 달에 착륙한 버즈 올드린이 가장 먼저 한 일은 기독교 방식의 성찬식이었다. 그는 성서 구절을 ... ...
장기 괴담, 모조리 씹어먹어 줄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1부에서는 귀신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이번에는 괴담을 다뤄볼까 합니다. 요즘에는 도시전설이라는 게 또 많이 퍼져 있지요. 이런 이야기는 어딘가 그럴듯하게 들린다는 점에서 귀신 이야기와는 다릅니다. 우리나라의 유명한 도시전설로는 ‘선풍기를 틀고 자면 죽는다’ 같은 게 있습니다. 물론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학의 기초를 이루는 가설에 대하여’라는 유명한 강연에서 구부러진 공간의 기하학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공간이 평평하지 않다는 생각은 당시로서는 혁명적인 발상 이었습니다. 먼 옛날 그리스 수학자 유클 리드가 기하학을 정립한 뒤 2000년 가까이 ‘평평한 공간’ 개념이 수학과 물리학을 ... ...
심장이 예뻐 보일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살리는 수술 도구와 시체 해부용 부검 도구가 나란히 있다. 역설적인 구조의 의미에
대해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지만, 길랏 박사는 구체적인 작품 이름이나 설명을 주지 않는다. 보는 이가 자유롭게 상상해서 자신만의 답을 찾기 원하기 때문이다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나라를 지켜냈지. 그럼 이 모든 싸움에 거북선을 사용했냐고? 그건 아니라네. 거북선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지.23전 23승이 아니라고?이순신 장군은 23번의 전투에 참여해 23번 모두 이긴 것으로 알려져있어요. 그러나 ‘23전 23승’은 소설 ‘불멸의 이순신’을 쓴 김탁환 소설가의 해석일 ... ...
[수학뉴스] 빠른 길 대신 즐거운 길로 안내해 주는 내비게이션?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연구팀은 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길거리마다 아름다움, 조용함, 행복감의 세 항목에
대해
점수를 매겼다. 그리고 이 결과를 길 찾기 알고리즘에 적용했다. 연구팀의 알고리즘은 우선 기존의 방식처럼 목적지까지 가능한 경로들을 먼저 찾는다. 그 다음 세 가지 항목 점수가 높으면서도 소요 시간이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