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소
재료
원료
물질
소재
원소
실재물
d라이브러리
"
성분
"(으)로 총 3,270건 검색되었습니다.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발생시키는 특성을 가진다. 그렇다면 이 미생물의 게놈정보를 잘 활용해 필요한
성분
을 대량으로 얻어내면 미래의 식량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한국의 경우 전통적으로 발효산업 분야에 많은 노하우가 축적돼 있다. 그런데 현재 발효 미생물을 대량으로 기르기 위해서는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것이 그 예다.아이가 세상에 태어난 후 10시간쯤 지나면 태변(胎便)을 배설한다. 태변의
성분
은 태아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 자신의 피부에서 떨어져 나간 세포와 솜털 등을 삼킨 것으로 여기에 태지(胎脂), 칼슘염, 담즙색소 등이 포함된다. 태변의 색깔은 검은 녹색이며 생후 4일째부터는 점액질이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어떤 단백질이 만들어지는지가 결정된다. 현재 염기배열만 알면, 즉 염기 3개의
성분
이 무엇인지 알면 어떤 아미노산 1개가 만들어지는지가 밝혀져 있다. 이런 의미에서 DNA의 염기배열을 가리켜 '생명의 설계도'라고 부른다.하지만 30억개의 염기가 모두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현재까지 ... ...
① 지구 환경과 우주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구의 환경과 에너지 문제는 20세기에 남겨진 가장 큰 숙제 중 하나인 만큼 사람들의 관심이 높다. 동시에 지구 밖의 행성 개발에 대한 기대도 크다. ... 우주인을 보게 될 것이다. 그 밖에도 목성이나 토성처럼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행성의
성분
을 조사할 수 있는 샘플채취가 가능해진다 ... ...
우유가 살균제로 쓰인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브라질 농업연구소 환경실험실의 와그너 베티올 박사에 의해 밝혀졌다. 값이 싼 살충
성분
을 찾고 있던 베티올은 우유 생산공장에서 나온 부산물이 호박잎의 곰팡이를 죽이는 것을 관찰했다. 그는 같은 효과가 우유에도 있지 않을까 가정하고 신선한 우유를 호박에 뿌려주었다. 놀랍게도 효과가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훨씬 더 민감하다는 점을 밝혀냈다. 그렇다면 이 원리를 활용해 똑같은 약이라도
성분
을 약간 바꿔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구분한 종류들이 조만간 등장할 것이다.미래의 신약은 생의 의욕을 상실한 사람에게는 희망을 주고 가정의 행복을 되찾아 줄 가능성이 크다. 미국에서 ‘점잖은’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잎을 뜯으려고 몰려들 때 옆 나무의 소식을 전해듣고 순식간에 씁쓸한 맛을 내는 탄닌
성분
을 분비해서 맛없는 잎사귀로 만든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때문에 동물들은 자신이 왔다는 소식이 바람을 타고 다른 식물들에게 전해지지 않도록 늘 바람이 불어오는 쪽을 향하고 풀을 뜯는다고 한다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성체까지 3백개체 이상 센트로사우루스(Centrosaurus)화석이 산출됐다. 뼈를 둘러싼 암석의
성분
은 이 지역이 과거 깊은 강이었으며, 센트로사우루스 무리가 강을 건너려다가 물살에 휩쓸려 죽었음을 암시한다.더 극적인 예는 미국 몬태나주의 공룡알산(Egg Mountains)지역이다. 이곳에는 1만마리가 넘는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얻었다.비아그라는 신약개발의 과정에서 상당히 운이 좋은 사례로 통한다. 이미 같은
성분
을 가지고 ‘협심증 치료제’로서 동물실험과 임상 첫단계 시험을 마친 상태였기 때문에 아무래도 실험 속도가 빨랐다. 신약개발의 경제성 측면에서 ‘이보다 좋을 수는 없다’고 평할 정도다.효험 본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활발하게 활동을 벌일 수 있다. 이때 각종 소기관들이 제기능을 발휘하는데 필수적인
성분
이 단백질이다.하나의 세포에는 대략 10억개의 단백질들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이 많은 단백질이 어떻게 ‘알아서’ 특정 소기관으로 옮겨갈 수 있을까. 이 문제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 사람이 바로 블로벨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