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천
지원군
물자
리소스
자원병
지원병
물품
d라이브러리
"
자원
"(으)로 총 2,47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략광물 중석은 어디에 쓰이나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천7백13M/TW함량), 북한은 14위를 차지하고 있다.이처럼 우리가 세계적으로 자랑할만한 지하
자원
인 중석이지만 앞서 언급한 이유등으로 인해 강원도의 상동광상과 경북의 울산광산을 제외하고서는 모두 휴광상태에 있는 형편이다.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할 뿐만 아니라 특히 원광석으로의 ... ...
자원
탐사는 어떻게 하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지질조사 과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새로운 기술은 원격탐사기술이다. 항공 사진, 특히
자원
위성사진을 입체쌍안경이나 컴퓨터를 이용, 판독하여 지질구조 및 지층의 발달상태와 토양속의 함유원소의 특징 등을 파악하여 이용한다.지질조사를 하려면 노출된 암석을 깰 수 있는 함머라든가 미세한 ... ...
바다로 흘러간 유용광물 회수해야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바다밑의 표사광상에 광물
자원
이 쌓여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황해·남해 외에 동해의 퇴적분지도 석유부존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는 역사시대를 통하여 금은보 ... 해저광물
자원
탐사활동이 궤도를 달리게 되면 한반도 주변에 묻혀 있는 많은
자원
이 우리를 선진대열에 서게 할 것이다 ... ...
국토
자원
의 미래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앞으로 태평양시대의 도래와 함께 국제적 중계지로서도 각광을 받을 수 있다.미래의 국토
자원
이 아무리 우리에게 윤택한 생활을 보장한다 해도 환경보전의 지혜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우리의 미래가 결코 밝지만은 않을 것이다. 고속전철이 전국을 1일도시권으로 묶고, 다도해 해상도시가 펼쳐지고 ... ...
각광받을 비금속 광물과 희귀원소광물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규석 고령토 등 첨단산업의 원료광물이 매우 많다. 우라늄과 토륨 등 전략광물도 개발의 여지 크다. 우리나라에서 생산하여 국내에서 사용되는 광산물은 총 42종이다. 이중 전 ... 발전에 큰 도움이 되어 왔지만 이들 금속은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중요한 금속광물
자원
으로 남게 될것이다 ... ...
식용·약용으로 쓰이는
자원
식물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등이 82년도 노벨의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벗풀 조리대 복분자딸기 등도 유용한 식물
자원
이상의 몇가지 식물 이외에도 우리 주변에는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식물들이 흔하다.소나무는 흔히 보는 나무지만, 나무의 순을 생식할 수 있고 술솔을 만들 수도 있다. 꽃가루는 5월경에 모아 꿀 혹은 ... ...
정보통신 집적도시가 생긴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것이다.에너지가 중심인 산업사회에서는 교통수단이 편리하고 공업용수를 포함한 수
자원
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임해공업단지가 형성되지만, 정보가 물질이나 에너지보다 우선하는 정보화시대의 첨단공업단지의 모습은 정보이용을 극대화하는 텔레포트를 중심으로 형성된다.특히 80년대 들어서 ... ...
화산 지진 태풍의 섬나라-필리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북쪽의 대만과 남쪽의 보르네오 사이에 원시자연이 보존된 많은 섬들로 이루어진 필리핀군도는 아름다운 산호초가 둘러싸고 있다.7천개가 넘 ... 떨어진 남부 멕시코에 이르기까지 큰 육지가 거의 없는 망망한 태평양이다.이 사진은 지구
자원
탐사위성 랜새트가 9백20km 상공에서 찍은 것이다 ... ...
오염된 강물, 되살릴 길은 없나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수도법 하수도법 하천법 항만법 해양오염방지법 도시건설법 국토개발종합계획법 수산
자원
보호법 등이 그것이다. 이 법들은 주관부서가 서로 달라 상충되는 것들이 많고 혼선을 빚고 있는 항복도 허다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수질오염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밥법은 ... ...
특산식물과 사라져가는 희귀식물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보호가 긴급한 식물들이 있다.산닥나무:강화도 남해도 진도 및 남쪽섬에서 자라는 섬유
자원
식물이다. 키가 작기 때문에 큰나무에 밀려나기 마련이지만 종자를 많이 맺으므로 비교적 자기 세력을 유지한다. 남해도에서는 자라는 것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북한산이나 관악산에서 자라는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